2024.04.30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농촌에서 ‘소확행’ 꿈꾸는 청년들

청년 영농정착지원 대상자 400명 추가 선발

청년 실업률이 갈수록 높아지는 가운데 정부는 정체돼 있는 농촌을 살리기 위해 청년농을 유입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5월 국회에서 추가경정예산으로 편성된 ‘청년 영농정착 지원사업’으로 대상자로 400명을 추가 선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청년 영농정착 지원사업은 만 40세 미만, 영농경력 3년 이하의 청년 창업농을 선발해 월 최대 100만원의 정착지원금을 최장 3년간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 4월 본 사업 대상 1200명 중 1168명을 선발한 바 있다.


8월말부터 영농정착지원금 지급
이번 400명 추가 선발에는 1838명이 지원했다. 지원자들이 제출한 영농계획에 대한 서면평가를 통해 1.5배수인  600명을 선발하고, 면접평가를 거쳐 400명을 최종 선발했다.
농식품부는 선발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기하기 위해 농업계 학교 교수와 교사, 경영컨설턴트, 농업 마이스터 및 신지식 농업인 등의 외부전문가로 평가 팀을 구성해 지원자의 영농의지와 계획 등을 평가했다.

추가 선발된 400명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시도별 선발인원은 경북·전북·전남·경기·경남 등의 순이었다.
영농경력별로는 창업 예정자가 177명(44.2%), 독립경영 1년차 174명(43.5%), 2년차 34명(8.5%), 3년차 15명(3.8%)이었다.




또한 귀농인이 295명으로 재촌 청년 105명의 약 3배 수준이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324명, 여성이 76명으로 남성이 5배가량 많았다. 주 생산 예정품목으로는 채소류 23.3%으로 가장 많았으며 과수류 16.5%, 축산 13%, 특용작물 8%, 식량작물 9%, 화훼류 3.3% 순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과 경종 복합경영 9%, 기타 품목 복합경영이 18.5%였다.


농식품부는 이번에 선발된 400명의 청년창업농에게 창업자금, 농지지원 등을 사전 신청받은 결과 창업자금은 232명(58%), 농지 임차·매입 지원은 200명(50%)이 신청하였다. 선발된 400명 중 독립경영 1~3년차 223명에게는 8월말부터 영농정착지원금을 지급하고, 창업예정자 177명은 농지 등 영농기반을 마련하고 농업경영체 등록을 한 이후 지원금을 지급하게 된다.


농식품부는 선발된 청년창업농 400명을 대상으로 16일과 17일 양일간 관계기관 합동으로 설명회를 개최한다. 청년창업농 육성정책 전반과 영농정착지원금 지원, 사후관리 등을 안내하며 청년창업농에게 부여되는 의무영농(최장6년), 의무교육(연간160시간), 경영장부 작성 및 농업경영실적 제출 등의 의무 등도 상세하게 설명할 예정이다.


농촌생활 꿈꾸는 40세 이하 꾸준히 증가
선발된 400명의 영농기반 마련을 살펴보면 현재 부모가 영농에 종사중이지만 부모로부터 영농기반을 받지 않고 별도 기반을 마련한 청년이 196명으로 49%였고 부모의 영농기반을 증여 혹은 상속 받은 청년은 80명으로 20%였다. 나머지 31%는 부모의 영농기반도 없고 본인이 신규로 영농기반을 마련한 청년이었다.
이는 부모세대와는 달리 그들이 농촌에서 꿈꾸는 삶이 ‘물려받은 것’이 아닌 ‘선택한 것’이라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이번 400명의 선발자 중에는 자녀의 아토피 때문에 귀촌 생활을 하며 지역주민의 일을 돕던 중 농업에서 성취감을 느껴 지역 여성 농업인 5명과 함꼐 영농조합을 결성해 창농에 도전한 여성도 있었다. 


귀농 귀촌인구 가운데 40세 이하 청년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청년실업률로 볼 수 있는 경쟁사회 속 도시를 벗어나 농촌으로 내려오는 청년들도 적지 않다. 그런데 이러한 청년들의 농촌에 정착할 수 있는 농촌 정책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농업과 농촌에 대한 삶을 다른 시각에서 보고 새로운 가치관을 찾아 살아가려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그 형태도 매우 다양하다. 그에 비해 농촌 정책은 그저 농가 소득에만 집중돼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좀 더 다양한 청년들의 농촌에서의 소확행(작지만 확실한 행복)을 구현을 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