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5 (토)

  • 구름많음동두천 5.8℃
  • 흐림강릉 8.0℃
  • 구름조금서울 8.7℃
  • 흐림대전 9.4℃
  • 흐림대구 9.3℃
  • 흐림울산 8.9℃
  • 흐림광주 7.8℃
  • 흐림부산 9.1℃
  • 구름많음고창 6.0℃
  • 흐림제주 12.3℃
  • 구름조금강화 6.3℃
  • 구름많음보은 8.3℃
  • 구름많음금산 9.3℃
  • 구름많음강진군 7.6℃
  • 구름많음경주시 8.5℃
  • 흐림거제 9.1℃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전체기사 보기

기주범위가 넓어 방제가 어려운 ‘줄기구근선충’Ⅱ

마늘줄기 선충, 이식 전 양파묘에서는 60%까지, 마늘은 50%에서 90%까지 피해

지난 호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마늘줄기선충’과 ‘감자썩이선충’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정남준 기자(이하 정기자) 감자썩이선충은 어떤 선충인가? 추호렬 박사(이하 추박사) 0.8~1.85 밀리미터 크기의 감자썩이선충(Ditylenchus destructor)의 기주는 감자, 고구마, 인삼, 콩, 땅콩, 승마, 아이리스, 튤립, 글라디올라스, 다알리아, 히야신스, 사탕무우, 당근, 마늘, 양파, 부추, 담배 등 농작물과 잡초를 포함하여 100종이 넘는다. 양송이의 균사도 먹는다. 특히, 감자를 썩게 하는 피해 외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인삼의 근부병을 유발하기 때문에 그 피해가 매우 크다. 정기자 감자썩이선충이 감자에 침입하는 과정은 어떻게 되나? 추박사 껍질눈이나 상처를 통하여 침입한다. 선충 침입 후의 초기 피해증상은 껍질을 벗겨야만 볼 수 있을 정도의 작고 흰 푸슬푸슬한 반점이 껍질 밑에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감염 부위는 확대·유합되고 연한 갈색 병변이 표피 밑에 나타난다. 감염이 진전되면 조직은 건조되고 오그라든다. 껍질은 갈라지고 얇아진다. 내부 조직은 점점 검어지고 때로는 곰팡이, 세균, 응애 등의 2차 침입이 발생한다. 저장 감자는 썩게 되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