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UN) 산하 세계지식재산기구(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PO)가 지난달 20일 발표한 ‘2021 글로벌 혁신지수(Global Innovation Index, Gll)’에서 우리나라가 전년 대비 5단계 상승하며, 역대 최고인 5위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처음으로 10위권에 집입한 것에 이어, 올해 싱가포르를 제치고 아시아 지역 국가 중 1위를 기록한 것이다. ‘글로벌 혁신지수(Gll)’는 세계지식재산기구(WIPO)가 2007년부터 매년 유럽경영대학원 인사이드(INSEAD), 미국 코넬대와 함께 세계 130여 개국의 경제혁신 역량을 측정해 발표하는 지수로서, 총 7개분야, 21개 항목, 81개 세부지표를 토대로 평가된다. 세계지식재산기구(WIPO)는 2021년 ‘글로벌 혁신지수(Gll)’에 대해 글로벌 경제침체와 코로나19 펜더믹 상황에서도 여전히 일부 부분, 특히 공중 보건 및 환경과 관련이 있는 산업에서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번 평가에서는 스위스가 100점 만점에 65.5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로써 11번째 1위를 차지하며 혁신의 세계적인 선두 주자로 선정됐다. 이어 스웨
한국 농기자재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글로벌농업안테나> 뉴스를 만듭니다. 농약, 종자, 농기계, 친환경 관련 글로벌 정보를 객관적 관점으로팩트만을 전달하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 편집자주 - 프랑스, 글리포세이트 사용중단 위해 농민들에게 재정적 지원 지난 2017년, 에마뉘엘 마크롱(Emmanuel Macron) 대통령은 향후 3년 내로 프랑스에서 글리포세이트(Glyphosate)의 사용을 중단시키겠다는 공약을 했으나 현시점에서 실패했음을 인정했다. 사실 프랑스의 국립식품보건안전기관(ANSES)이 지난해 10월에 글리포세이트의 사용 규제안을 발표했으나 이마저도 제초제사용 전면금지에 대한 지지부족으로 백지화됐다. 이에 마크롱 대통령은 글리포세이트 사용을 중단시키기 위해 정부가 농작물생산자들에게 재정적인 지원을 하는 것을 인가했다. 프랑스 농업청은 2021년 또는 2022년에 글리포세이트의 사용을 중지하는 프랑스 농작물생산자들에게 한시적으로 미화 3,030달러의 세액공제를 지원해 줄 것이며, 또한 앞으로 그들이 농업환경을 바꾼다면 추가적인 재정지원을 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러한 글리포세이트 반대캠페인이 얼마나 효과를 보일지는 불투명하지
한국과 키르기즈공화국 간에 국제협력사업이 확대된다.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지난 2일 키르기즈공화국 농업식품개발부와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 KOrea Program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gricultural technology)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날 농촌진흥청 본청에서 진행된 양해각서 체결식에는 김경규 농촌진흥청장과 주한 키르기즈공화국 디나라 케멜로바(Dinara Kemelova) 대사 등 양측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2017년 키르기즈공화국 KOPIA 사업을 위한 현지 타당성 조사를 실시한데 이어 이번 업무협약 체결로 올해 하반기 KOPIA 키르기스스탄 센터를 개소할 예정이다. 양 기관은 양해각서 체결로 한국과 키르기즈공화국 간 농업기술 상호협력을 강화하고, 농촌진흥청은 키르기즈공화국에 우리나라의 선진 농업기술을 전수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유기농사업, 씨감자 생산체계 구축, 가축 인공수정 등 키르기즈공화국에서 필요로 하는 사업을 우선 추진한다. 주한 키르기즈공화국 디나라 케멜로바 대사는 “KOPIA 사업을 통해 양 기관 간 농업기술협력을 확대할 수 있게 되어 기
지구 반대편 남미 대륙, 파라과이에 뿌려진 ‘한국 참깨’가 현지 농가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국내 기술 지원을 통해 최초 개발된 파라과이 참깨 품종이 현지 농가에 대단위로 보급되면서 농가 소득이 크게 증대됐다는 경영분석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농촌진흥청 코피아(KOPIA, Korea Program on International Agriculture) 파라과이센터는 현지 농업현황 분석을 통해 소농의 소득 향상과 농업 전반에 파급효과가 큰 작물로 참깨를 선정하고, 파라과이 IPTA(Instituto Paraguayo de Tecnologia Agraria, 파라과이 농업 기술 연구소)와 공동으로 품종과 재배기술을 개발했다. 지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6년간의 연구결과, 현지적응성이 뛰어나고 병충해에 강한 계통을 선발하고, 참깨 품종 ‘IPTA-K07’ 개발에 성공했다. 2015년 현지에 품종등록도 마쳤다. 또한, 재배기술로 적정 파종량과 파종 간격을 밝혀 종자 소요량을 최소화했고, 참깨 재배를 위한 화학비료 시비량도 확립했다. 콩과작물인 작두콩이나 무쿠나 프루리엔스(Mucuna pruriens, 콩과의 덩굴성 관목)
일본 일경비즈니스에 따르면 스미토모화학은 ‘가업’인 비료사업을 계승하면서 미래산업으로 성장 가능성이 풍부한 농업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 성장 원동력으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스미토모화학은 2개의 전략을 취했다. 하나는 ‘빨판상어 전략’이다. 스미토모화학은 세계의 기업들에게는 없는 독자의 유효 성분을 개발하여 그것을 해외 기업들에 제공, 새로운 농약 개발에 도움을 받는다. 제품화가 되면 그들의 판매망을 통해 ‘스미토모화학 제품’은 세계로 퍼져나가는 것이다. 이미 독일의 바이엘(BAYER)이나 바스프(BASF), 미국의 듀폰(DowDuPont)과 몬산토(Monsanto) 등의 기업들과 연이어 유효 성분의 공급 등에 관한 기술 제휴를 맺고 있다. 스미토모화학의 니시모토(西本) 전무는 “20년까지 각국에서 사용 허가 신청을 하는 4개의 유효 성분만으로 연 매출 1,000억엔이 넘을 전망이다”며 “우리만의 판매망으로 사업을 전개했다면 이 규모가 되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말한다. 농약은 오랫동안 사용하는 동안에 내성을 갖는 세균이나 해충이 나타나고 서서히 효과가 희미해져 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농약제조업체는 항상 새로운 유효 성분을 만들어내야 한다. 농약
일본의 니케이 비즈니스에 따르면자본주의 경제에 남아 있는 ’마지막 프런티어‘ 아프리카는 전세계 의기대를한몸에받아왔다. 그런 기대에 부응하기라도 한듯 아프리카 경제는 성장해 왔으나, 일본과는 지리적으로 먼 거리에 떨어져있어 성공을 이룬 일본 기업 이많다고는볼수없다고전한다.아프리카는 정세와 치안이 불안하고 인프라가 정비되어 있지 않으며 현지의 대부분이 중국 기업이 라는인상때문에선뜻진출에나서지 못하는 기업이 있을지도 모른다. 이런 이미지 중에 일부는 사실이다. 그러나 경제 성장과 IT기술의 진보로 아프리카는 크게 바뀌기 시작했다. 지금까지의 정설을 뒤집는 아프리카가 일본 기업의 구원 투수가 될지도 모른다. 일본 내수시장 극복 위한새로운 기회의 땅 아프리카시장의 잠재력 면에서 이전부터 각광을 받아 온 아프리카. 반면에 그동안 일본 기업에게 있어서는 물리적이나 심리적으로 멀기만 한 지역이었다. 그러나 경제와 더불어 기술 기반이 발전한 현재의 아프리카는 일본 기업이 본격 적으로 나설 기회의 땅이다.일본의 중견 식품회사인 가고메는 지난 2017 년 12월 세네갈에 현지법인을 설립했다. 현재는 본격적인 토마토 재배를 시작해 2번째 시즌을 맞이한다. 작년도 생산량은 계획의
기후변화 대응 작물로서 시금치에 자주 비교되는 몰로키아 추출물에서 면역 저하를 개선하는 효능을 확인해 면역력 증진 소재 개발 가능성이 열렸다. 왕의 채소 ‘몰로키아’ 한국식품연구원(원장 박동준, 이하 식품연)은 면역력 증진 기능성 식품소재 발굴을 위한 연구를 통해 몰로키아 추출물에서 면역 저하를 개선하는 효능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몰로키아는 (Melokhia, Corchorus olitorius L.) 이집트가 원산지인 녹황색 채소로 영양가가 높고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어 ‘왕의 채소’라고 불려지기도 한다. 면역기능 83% 이상 증진 식품연의 식품기능연구본부 박호영 박사 연구팀에 따르면, 몰로키아 추출물을 섭취한 실험용 쥐에 면역력 억제를 유도한 결과, 일반사료만 섭취한 대조군에 비해 백혈구 수치와 같은 면역 관련 지표를 건강상태로 유지함을 확인하였고 관련 연구결과를 건강기능식품 분야 국제학술지인 ‘기능성 식품저널(Journal of Functional Foods)’에 소개했다. 몰로키아에서 추출한 기능성 소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직접 파괴하는 면역세포인 NK(natural killer)세포와 체내 조직에서 면역을 담당하는 대식세
일본의 일간공업신문에 따르면 AI인공지능이나 IoT(사물인터넷), 로봇 등의 첨단기술을 사용한 스마트농업이 가속화되고 있다. 각 지역에서 개발·실증실험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가운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서 구축하려 움직임도 나오고 있다. 이에 ‘스마트농업은 농가의 생산성 향상이나 농업 종사자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비장의 카드가 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생산성향상·노동력부족 해소의 비책 홋카이도에서 스마트농업 실현을 목표하는 임의단체 ‘스마트농업공동체(Smart Agri consortium, SAc)’가 지난해 11월에 발족했다. 정보통신기술(ICT)이나 IoT 등의 기술과 시스템을 보유한 기업과 농가 등의 생산자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농업의 ICT화나 6차 산업화를 추진한다. 1월 상순까지 60사·단체가 참가했다. 프로젝트의 메인 테마는 ‘논벼 재배관리’다. 이세키농기와 이세키칸토코신에쓰가 제공한 정보통신기술을 사용한 농기계로 모내기나 수확을 한다. SkymatiX는 드론을 이용하고, 국제항업은 인공위성으로 리모트센싱을 실시한다. 수확량이나 뿌린 비료 양 등의 정보는 애그리 노트로 일원 관리한다. 현재 애그리 노트를 보급
종자 유통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난 2011년 12월 12일 발족한 (사)한국종자판매협회가 11년여 만에 (사)한국종자유통협회로 명칭을 바꾸고 기존 정관을 확대·개편하면서 새로운 출발을 알렸다. 새롭게 출발하는 (사)한국종자유통협회는 신임 회장으로 (사)전국작물호제유통협회 김문수 회장이 겸임하기로 결정했다. 특히 운영이 정상화될 때까지는 모든 조직 및 임직원도 현재 (사)전국작물보호제유통협회 현직이 (사)한국종자유통협회의 동직을 겸임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기존 정관을 회원들에게 맞게 확대·개편했다. 다음은 (사)한국종자유통협회 김문수 신임 회장과의 인터뷰를 통한 그동안의 경과 및 향후 계획에 대한 일문일답. Q1 지난해 3월 본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사)전국작물보호제유통협회와 (사)한국종자판매협회(현. (사)한국종자유통협회)의 통합을 통한 협회의 역할 강화를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통합이 아닌 각각의 단체로 명칭만 바꾸고 새롭게 출범하게 된 배경은? (사)전국작물보호제유통협회 회원은 작물보호제뿐만 아니라 종자, 비료, 농기구 등 대부분의 농자재를 취급하고 있으며, 협회는 회원들의 권익보호를 위해 역할을 해오고 있습니다. (사)한국종자판매협회와의 통합 또한 회
충청북도 영동군(군수 정영철)은 소백준령의 끝자락에 위치해 일교차가 크고 일조량이 풍부해 감, 포도, 사과, 배 등 고품질 과일이 전국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과일 생산지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영동군에는 세계 최대매장량인 약5억톤 규모의 희귀 천연광물질 ‘일라이트(illite; 세립질운모)’가 매장되어 있다. 지난해 민선 8기로 제39대 충청북도 영동군수로 당선되어 고향인 영동군에서 민정 활동을 펼치고 있는 정영철 영동군수는 1964년 충북 영동군 출생으로 옥천영동축산업협동조합에서 조합장직과 이수한우영농조합법인 대표직을 역임한 바 있다. 정영철 영동군수는 전국 최대 규모의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으로 영동의 미래농업을 발전시킬 예정이다. 또한 미래농업과 체류형 관광을 중심축으로 영동군 발전을 위한 대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고 살맛 나는 영동, 오고 싶은 농촌을 만들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동만의 특색을 담은 ‘함께하는 군민 살맛 나는 영동’이라는 군정 슬로건 아래 △생동하는 지역경제, △감동주는 맞춤복지, △앞서가는 미래농업, △머무르는 힐링관광, △만족하는 열린행정을 군정운영 목표로 정했다. 영동군 농업 및 지역 균형 발전에 앞장서고 있는 정영철 영동군수를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