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기상이변 대응 새로운 밀원수종 개발로 꿀벌 보호 및 생태계 보전’ 다부처 공동연구사업과 관련해 7월 11일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에서 성과공유회를 연다.
다부처 공동연구사업은 기상이변 대응 새로운 밀원수종 개발로 꿀벌을 보호하고, 생태계를 보전하자는 목적으로 2023년부터 추진되고 있다.
관련 부처가 머리를 맞대고 기후변화에 따른 밀원식물 개화 기간 단축과 꿀벌 먹이자원 부족, 꿀벌 실종 등 위기에 처한 양봉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찾는 데 고심하고 있다.
이날 성과공유회는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주관하며, 한국예방수의학회 학술대회 특별분과로 진행된다.
농림축산검역본부 기관 성과 목표와 추진 방향 발표를 시작으로 행동 이상 증상 꿀벌 현장감별 유전자 진단법, 꿀벌 스트레스 지표 발굴 및 관리 기술 등을 소개한다.
이어 국립농업과학원이 성과 목표와 추진 방향, 이상기온 대응 꿀벌 스마트 관리 기술개발, 밀원‧재래 꿀벌 양봉 산물 특성 및 효용 가치 증진 기술개발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끝으로 국립산림과학원, 국립기상과학원, 국립생물자원관이 기관별 성과 목표와 추진 방향과 함께 기후변화 적합 밀원수 개발 및 밀원 단지 조성 모형 개발 등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이와 함께 기관 간 소통 시간을 갖고, 효율적인 과제 추진을 위한 정보를 공유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한상미 양봉과장은 “이번 성과공유회에서는 기관별로 추진하고 있는 연구 내용을 파악하고, 다부처 공동연구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발전적인 방안들이 다수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