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2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전체기사 보기

혹한을 견디는 미생물의 겨울나기

낮은 속도지만 제 할 일 해나가는 미생물, 저온기 유기물 발효는 액체보다 고체배양이 더 수월

이제는 아침저녁으로 제법 찬 기운이 느껴진다. 가을의 마지막 절기인 상강(霜降)이 지나니 곧 입동이 찾아올 터, 장롱 속 겨울옷을 꺼내 겨울나기 준비를 해야 할 때다. 농촌은 지금이 더없이 바쁘다. 누렇게 잘 익은 호박을 따고, 길게 뻗은 넝쿨을 잡아당겨 붉게 살 오른 고구마를 캐고, 노랗게 물든 감을 거둬들인다. 보리 파종도 서둘러야 내년 타작의 기쁨을 누릴 수 있다. 한편으로는 “벌레도 겨울잠 자러 들어가는데, 미생물은 어떻게 겨울을 날까?” 하는 궁금증이 일어난다. 이번 글은 미생물의 겨울나기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 한다.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겨울 추위는 동물뿐 아니라 미생물에게도 큰 시련이다. 벌레는 따뜻한 곳으로 기어갈 수나 있지만, 미생물의 세계에서 하루에 움직일 수 있는 거리는 반경 몇 센티미터 남짓에 불과하다. 그렇다고 그대로 앉아서 얼어 죽을 수는 없다.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면 미생물은 대사를 최소화하여 에너지 손실을 막고, 글리세롤 같은 부동액 보호 물질을 만들어 세포 내 수분이 쉽게 얼지 않도록 한다. 이 시기 미생물은 최소한의 대사만 진행할 뿐 불필요한 합성은 꺼두는 것이 일반적이며, 외부 환경이 호전될 때까지 에너지 소비를 극단적으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