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친환경농자재

“원료물질 규격화된 검토기준 마련 시급해”

농진청, 친환경유기농자재 워크숍·교육 성료

 
국내 실정에 맞는 친환경농자재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료물질에 대한 규격화된 검토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농촌진흥청이 지난달 23~25일 강원대학교에서 개최한 ‘친환경유기농자재 워크숍 및 인증심사원 교육’에서 허장현 강원대 교수는 ‘친환경유기농자재 제품 공시 및 품질인증기관의 발전방향’ 발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허 교수에 따르면 한국의 품질인증제도는 효과, 품질관리, 사후관리가 이뤄지는 제도이나 농약과 같이 정부에 등록하는 제도는 아닌 상태이다.

이에 반해 미국은 31개의 물질을 제외하고는 FIFRA(농약관리법)에 따라 유기농자재를 등록한 뒤 유기농 사용 가능 여부를 인증 받는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독일도 작물보호법에 따라 식물강화제 등으로 유기농자재를 등록한 뒤 민간 인증기관이 검토 후 기관 자체에서 목록 공시를 하도록 돼 있다.

허 교수는 “국내 유기농자재 품질인증의 수준이 높은 편이기는 하지만 아직 농약으로 등록한 뒤 유기농자재로 인증 받는 것은 아니다”라며 “국내 실정에 맞는 친환경농자재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료물질에 대한 규격화된 검토기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또 “피레스린과 스피노사드는 천연물 유래 농약으로 MRL(농약잔류허용기준)이 설정돼 있다”며 “미국 OMRI에서는 친환경유기농자재로 사용되고 있는 만큼 국제적인 조화를 위해서라도 우리나라도 사용 가능하도록 해결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