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이 천적, 화분매개, 사료용으로 농업에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애완, 학습, 관광, 식·의약, 환경 등 비농업 분야에서까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농촌진흥청 대표 주간지 ‘RDA Interrobang’ 제4호에 따르면 곤충은 ‘해충’이 아닌 지구상에 마지막 남은 미개발 ‘생물자원’으로서 쓰임새와 가치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특히 친환경농업의 숨은 일꾼 ‘으뜸애꽃노린재’, 애완동물의 영양식 ‘귀뚜라미’, 애완곤충 ‘장수풍뎅이’, 축제의 주연 ‘나비’, 자연의 청소부 ‘동애등에’, 피부과 의사 ‘파리애벌레’ 등 다양하다. 또 우리 선조들은 곤충을 민간약재로 써왔다고 밝혔다. 조선시대 의학서 ‘동의보감’에는 95종의 약용곤충이 소개되고 있으며, 프랑스도 100여종의 곤충에서 추출한 물질로 기능성 신약의 소재를 찾고 있다고 소개했다. 최근에는 인간보다 탁월한 곤충의 감각기능과 신체구조, 행동습성 등을 의학, 구조물 등의 분야에 접목한 생체모방공학(Biomimetics)으로까지 곤충의 활용범위가 다양화되는 추세라고 강조했다. 다만 우리나라는 곤충산업의 후발주자로 곤충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급선무이며, 국내 유용곤충의 종류, 생태정보의 DB화, 국내 곤충자원의 산업적 이용가치 평가기준 마련 등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