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2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작물보호제

[기획]총채벌레, 기주범위 넓고 번식력도 높아 방제 어려워

물리적·화학적·경종적 방제 잘 조화시켜야


바이러스 매개해충 총채벌레 피해 비상

고온현상에 가뭄이 지속되면 총채벌레의 피해가 심해지는데 총채벌레의 경우 기주범위가 넓고 번식력도 높아 방제가 어렵기 때문에 초기 방제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총채벌레는 세균성 병의 원인이 되는 것은 물론이고 잎의 탄소 동화 능력을 떨어뜨린다. 현재 국내에서는 시설재배가 늘어나는 추세에 따라 총채벌레가 농가의 큰 골칫거리로 등장하고 있다. 총채벌레는 잎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피해 받은 잎은 작은 황색점이 찍히며 뒤틀리고 점차 검은색 점으로 변해 관상가치가 저하된다.

 

5~6회 이상 발생하는데 기주식물 종류 및 기상조건(온도)에 따라 불규칙하다. 성충은 30~70일간 생존해 식물체내에 수십에서 수백 개의 알을 낳고, 노지에서는 4월 하순으로부터 11월까지 발생 하고 대체로 6월 하순과 8월 상중순에 많이 발생한다.

 

특히 백, 황색계통의 꽃에 피해가 많으며 심하면 꽃이 제대로 피지 못하고 꽃봉오리 상태로 썩어버리기도 한다. 주로 잎이나 꽃 등 연약한 부위나 조직 틈에서 가해를 하므로 낮은 밀도로 발생하더라도 작물의 생욕초기 신초 부위 등에 발생하면 큰 피해를 입게 된다.

 

포기 전체에 피해를 받으면 생육이 둔화되고 점차 말라 죽으며 과일의 비대가 정지되어 상당한 피해를 초래한다. 고추 이외에 오이·호박·수 박·참외 등 박과작물 뿐만 아니라 화훼류에도 발생하여 피해를 주기도 한다. 건조 조건을 좋아하며 시설 내에서나 노지에서도 비가 적은 해에 는 피해가 크고 절화재배에서 큰 피해를 준다.

 

초기부터 계획적인 방제대책 필수 총채벌레는 모두 매우 잡식성이기 때문에 방제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기주범위가 넓고 번식력도 높아 약제로 완전 방제가 곤란하기 때문 에 물리적, 경종적, 화학적 방제를 잘 조화시켜야 효율적으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증식력이 강하고 약제에 대해서도 내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제방법으로는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초기부터 계획적인 방제대책이 필요하다.

 

시설재배에서는 모에 붙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거나 야외에서 시설내로 성충이 날아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 거나 밀도가 낮을 때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좋다. 정식하기 전에 모를 살펴보아 총채벌레가 발견되면 심지 않도록 하며, 모 포에는 밖에서 성충이 날아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랭사를 반복 한다. 시설 내에서는 측면이나 천장의 창문을 한랭사로 설치하고, 청색이 나 백색의 끈끈이 트랩을 설치하여 발생이 확인되면 약제를 잎 뒷면까지 충분히 묻도록 4~5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하면 방제효과가 높다.

 

꽃노랑총채벌레

꽃노랑총채벌레는 미국 서부 원산의 해충으로 유럽·아프리카·중남미·일 본·한국 등 전 세계에 분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93년 제주도 시설 감 귤의 과일에 피해를 주면서 최초로 보고되어 현재 제주도, 경상남도, 경기도, 강원도 등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산란은 복부 끝의 산란관을 통해 식물체의 꽃받침·꽃대··줄기·열매 등 조직 내에 산란한다. 유충은 1, 2령 유충을 거쳐 땅속에서 전용과 용 기간을 보낸다. 전용은 짧은 더듬이와 날개를 보이고, 용 기간 동안은 섭식하지 않으며 움직이지도 않는다. 또한 성충과 같은 수의 마디와 더듬이를 가지고 있다. 알에서 성충까지는 12.9(25)이 소요되며, 암컷성충은 75(25) 동안 생존한다. 단위생식을 하고, 우리나라 온실에서 연중 증 식이 가능하며, 제주도에서는 성충으로 월동한다.


오이총채벌레

오이총채벌레는 동남아시아 원산의 해충으로 인도네시아·필리핀 등 아시 아와 열대 및 아열대 등에 분포하며, 유럽·캐나다 등 미분포 국가에서는 검역 대상 해충으로 지정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1993년 제주도의 일본수출용 꽈리고추에서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제주도 전역과 경남, 경북, 전남, 전북의 일부에서 발생하고 있 다. 암컷성충은 체장 1.0~1.4로 전체적으로 황색이며, 수컷성충은 체 장 0.9~1.0의 밝은 황색이다. 꽃노랑총채벌레 보다 작고 몸 전체가 노 란색이다. 앞가슴에 긴 자모가 있다. 생식습성 및 생활사는 꽃노랑총채 벌레와 유사하다.


대만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는 25에서 난기간은 약 3, 부화에서 우화까지 약 7일이 며, 성충의 생존기간은 약 50일이다. 암컷성충의 총산란수는 500개정도 이다. 보통 양성생식을 행하지만 간혹 미수정난이 수컷이 되는 단위생식 도 한다. 4월 하순부터 발생하며 5~6월과 8~9월에 발생최성기를 보인 다. 10월 하순 월동처로 이동하여 성충으로 월동한다. 기주범위가 넓은 다식성으로 노지 및 시설 내에서 가장 흔한 총채벌레의 하나이다. 꽃을 선호하는 총채벌레로서 성충이 꽃잎이나 꽃받침에 산란 하며, 여기에서 부화한 유충이 흡즙 가해한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