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9월 24일 농업과학도서관 오디토리움에서 ‘2025년 정부혁신 우수사례 통합 경진대회’를 개최, 각 부문 최우수상을 선정하고 시상했다.
올해 경진대회에서는 자체 발굴한 정부혁신 우수사례 3과제와 공공서비스디자인 우수사례 3과제 총 6건이 발표됐다. 수상작은 본 대회에 앞서 실시한 1·2차 심사 결과와 국민, 직원평가단의 현장평가 결과를 합산해 최종 선정됐다.
정부혁신 우수사례 부문 최우수상은 ‘폐기물이던 농산부산물, 규제 개선 통해 새활용 산업자원으로 가치 향상’을 발표한 국립식량과학원 푸드테크소재과가 차지했다. 농산부산물 규제와 제도적 문제 해결을 통해 새활용 산업화를 촉진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공공서비스디자인 우수사례 최우수상은 ‘Post 도시재생, 도시농업으로 ‘다모이길’’을 소개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가 안았다.
구도시 유휴공간에 텃밭을 조성해 미관을 개선하고, 세대 간 교류를 촉진하는 등으로 국민 요구를 적극 반영했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밖에 정부혁신 부문 우수상은 ‘스마트 비료사용처방 서비스로 농업환경 보전 효과 극대화’(국립농업과학원 토양물환경과)와 ‘저메탄, 사료 소재 개발…탄소중립 축산 실현 첫걸음’(국립축산과학원 가축정밀영양과)이 각각 수상했다.
공공서비스디자인 부문 우수상은 ‘유채유, 건강한 식탁의 첫걸음’(국립식량과학원 소득식량작물연구소)과 ‘소리 없는 세상, 전해지는 온기’(국립축산과학원 동물복지과)에 돌아갔다.
농촌진흥청은 민생 문제 해결과 국민 편의를 제공하고자 자체적으로 혁신과제를 발굴·운영하고 있다. 또한, 국민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정책 수요자가 요구하는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일반 국민과 함께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과제를 추진했다.
농촌진흥청 이상호 기획조정관은 “정책 수요자인 국민과 함께 그간의 혁신 노력을 점검하고 성과를 나눌 수 있어 뜻깊게 생각한다.”라며 “앞으로도 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적극 반영해 우수한 성과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더욱 힘쓰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