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2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봄배추 장기저장 기술로 9월까지 쭉”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 노력

농촌진흥청, 능동형 시에이(CA) 저장고·엠에이(MA) 저장 기술 적용해 품질 유지 효과 확인
최대 90일까지 초기 품질 유지해 비축 가능성 확인
관계기관과 적극 소통, 저장 기술 확대 및 수급 안정 지원할 계획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여름철 배추 수급 불안정에 대응하기 위해 능동형 시에이(CA) 저장고와 엠에이(MA) 저장 기술을 현장 실증한 결과, 봄배추 장기저장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능동형 CA 저장고 구성

 

▶능동형 시에이(CA) 저장고: 저장된 농산물의 생리적인 특성을 자동으로 감지해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제어하는 2세대 시에이 저장고

 

▶엠에이(MA) 저장 기술: 선택적 가스 투과성이 있는 필름을 활용해 포장 내부의 산소, 이산화탄소를 조절하고, 중량 감소(증산)를 억제해 저장성을 높이는 기술

 

국립농업과학원은 보은거점산지유통센터에 능동형 시에이 저장고를 설치하고 지난 6월 4일 배추 90톤을 입고했다. 이후 9월 11일 현장 평가회를 열고 신선도와 관련한 저장 품질을 평가했다.

 

연구진이 3개월 동안 저온 저장한 봄배추와 능동형 시에이 저장고에 저장한 봄배추 품질 상태를 비교한 결과, 중량 감소율은 저온저장이 14.2%, 시에이 저장고는 2.65%로 차이가 컸다.

 

특히 시에이 저장고는 저장 중 수분 손실을 효과적으로 억제해 봄배추를 저장한 지 90일이 지나도 조직이 늘어나지 않고 초기 품질을 유지해 저온저장으로는 40일이던 봄배추 저장 기간을 90일 이상 연장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번 현장 실증으로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보편화된 시에이 저장고가 아직 보급 초기 단계인 국내 현장에도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한 셈이다.

 

이와 함께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이천 정부 비축기지를 포함한 5곳에서 봄배추 177톤을 대상으로 엠에이 필름 포장과 저온저장을 결합한 엠에이 묶음(패키지)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봄배추에 엠에이 묶음 기술을 적용해 6월 12일에서 9월 5일까지 약 3개월 저장한 후 저온 저장한 봄배추와 품질 상태를 비교한 결과, 중량 감소율은 저온저장이 6.9%, 엠에이 묶음 기술은 2.9%로 수분 손실을 억제해 신선도 유지에 효과적이었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중량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저장 기간을 기존 40일에서 80~90일까지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9월 16일 이천 정부 비축기지에서 현장 평가회를 열어 엠에이 저장 기술을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초기 배추 상태와 품질관리 수준별 저장성을 비교해 가장 효과적인 저장 모형(모델)을 마련할 계획이다.

 

▲능동형 CA 저장고 활용 봄배추 통합관리 시스템

 

농촌진흥청은 정부나 지자체가 능동형 시에이 저장고와 엠에이 저장 기술을 활용해 봄배추를 장기 저장하면, 기후 이상으로 인한 생산 차질과 공급 불안 상황에도 비축 물량을 공급할 수 있어 수급 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농촌진흥청 손재용 수확후관리공학과장은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을 위해 저장, 품종, 기계, 방제, 재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노력 중이다.”라고 말했다. 저장유통과 임종국 과장은 “봄배추 장기저장 기술을 활용해 빠르게 수급이 안정될 수 있도록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산지거점유통센터 등과 긴밀하게 협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