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9월 4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나물콩 실증 재배 농가와 서귀포시 대정읍 ‘레드향’ 재배 농장을 차례로 방문해 재배 상황과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안정 재배를 위한 대책 마련을 당부했다.

이번 방문은 기후변화로 품질 저하가 우려되는 나물콩을 지속 재배하기 위해 국립식량과학원이 개발한 신품종의 지역 적응성을 확인하고자 마련됐다. 아울러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레드향’의 열매 터짐(열과) 피해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준비했다.
나물콩은 콩나물 원료로 쓰이는 중요 작물로 제주가 주산지다. 전국 재배면적(5,826ha)의 70% 이상인 4,038헥타르(ha)가 제주에 속해 있다.
이날 이 청장은 국립식량과학원이 개발한 ‘아람’(2016), ‘해찬’(2023) 등 신품종 현장 실증과 기술 지원 현황 등을 점검했다.
이들 품종은 기계수확에 적합하고, 콩나물 가공 시 품질이 우수해 농업인이 많이 선호한다. 국립식량과학원과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은 기후변화 대응 안정적인 나물콩 생산을 위해 관련 분야 협업을 이어오고 있다.
또한, 농촌진흥청은 2025년부터 아열대 기후 적응성 평가 긴급과제를 제주 현지에서 수행하며, 콩‧녹두 등 식량작물의 재배 적응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이 청장은 “그동안 제주에서 진행한 원예‧축산 중심의 연구에 더해 식량작물 분야 연구도 적극 추진해 기후변화 적응 식량작물 품종개발과 보급에 힘쓰겠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청장은 2010년부터 ‘레드향’(감귤품종)을 재배하고 있는 농장을 찾아 열매 터짐 현상과 재배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듣고, 피해 경감재배 기술 개발과 재배 체계 개선 마련 등을 약속했다.
이 청장은 “레드향 열매 터짐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근본적인 발생 원인을 찾아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종합적인 재배 지침을 마련하는 데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최근 지속되는 여름·가을철 폭염과 집중폭우로 감귤류 열매 터짐(열과, 裂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껍질이 얇아 폭염에 취약한 레드향 품종에서 피해가 더 많이 발생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