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7 (목)

  • 맑음동두천 13.0℃
  • 흐림강릉 16.5℃
  • 구름조금서울 16.0℃
  • 맑음대전 13.8℃
  • 구름조금대구 12.3℃
  • 구름조금울산 13.4℃
  • 흐림광주 16.7℃
  • 흐림부산 15.8℃
  • 맑음고창 17.4℃
  • 맑음제주 19.9℃
  • 흐림강화 16.1℃
  • 맑음보은 8.5℃
  • 맑음금산 15.5℃
  • 흐림강진군 17.8℃
  • 맑음경주시 10.4℃
  • 구름많음거제 15.9℃
기상청 제공

축산

말 방목초지, 퇴비 적정량 사용·방목 두수 관리로 건강하게

적정 방목 두수는 9두 이하, 마분 퇴비 혼합량은 25% 유지
제주특별자치도 5개 농가 205헥타르 토양 성분 조사
과도한 방목은 토양 건강 악화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말 사육 농가의 마분 퇴비 활용과 지속 가능한 방목지 관리를 돕기 위해 마분 퇴비 적정 사용 수준과 방목밀도 조절 방안을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이 제주특별자치도 5개 농가 말 방목지(205헥타르)의 토양 성분(pH, 질소, 유효인산, 유기물 등)을 조사한 결과, 농가 간 큰 차이는 없어 전반적으로 비슷한 토양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다만, 방목하는 말 밀도가 높을수록 유효인산 농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과도한 방목은 토양 건강과 영양분 균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이를 바탕으로 목초 생산성과 토양 건강성을 높일 수 있는 방목초지 관리 기준을 제시했다.

 

방목지 헥타르 당 적정 방목 두수는 9두 이하로 유지하기를 권장했다. 이를 초과할 경우, 방목 횟수를 줄이거나 마분 퇴비 또는 비료 시용량을 조절해 토양 압력 증가, 양분과잉 축적 및 산성화 등 초지 부담을 줄여야 한다.

 

또한, 라이시미터(Lysimeter) 실험으로 적절한 퇴비 사용 비율을 확인한 결과, 마분 퇴비 25%와 화학비료를 혼합 사용했을 때 헥타르당 최대 1만 7,877kg의 목초 생산이 가능했다.

 

마분 퇴비량을 75%까지 늘리면 1만 5,851kg, 마분 퇴비 100%만을 사용했을 때는 1만 3,619kg 수준으로 떨어져 목초 생산성이 약 20~3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김남영 난지축산연구센터장은 “이번 연구에서 나타나듯 마분 퇴비를 적절히 사용하고, 적정한 방목 기준을 지킨다면 방목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토양 건강도 지키고, 농가 운영비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