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자재신문=신승환 기자]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ADHD는 꾸준함이 필수다. 전문의에 의한 치료제 처방, 언어적 치료, 사회기술훈련 등 ADHD를 고치기 위한 치료법은 다양하다. 무엇보다 지속적으로 치료를 계속해야만 효과를 볼 수 있다. 미국이나 캐나다 등 북미권은 각성감을 유발시키고 지속시키는 암페타민을 치료제로 권하는데, 가장 많이 남용되는 약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기도 한다. 약물부작용으로는 떨림, 숨가쁨, 현기증, 어지러움 등이 발생한다.
ADHD는 소아와 초등생 사이의 아이들에게 발생하기도 한다. 실제 국내 초등학교 재학중인 아이들 중 평균 7.5%, 20명당 1~2명에 해당될 정도로 흔한 질병이다. 대뇌 주의력 조절 및 실행기능의 문제가 있어 잠시도 가만히 있지도 못해 실수도 잦고 본의 아니게 주변 사람들을 방해하거나 간섭하게 되는 증상을 보인다. 아이가 ADHD가 의심된다면 가능하면 일찍 전문적인 진단을 받아야한다.
뇌의 각성 능력이나 집중력 있는 활동이 향상이 되지만, ADHD 치료를 위해 치료제는 복용이 반복됨에 따라 효과가 약화되는 경향이 있다. ADHD 약물부작용은 치료제로 쓰이는 암페타민이라는 약물이 혈압 상승, 떨림, 현기증, 땀 흘림, 가쁜 호흡, 구역질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 사용에 있어서 매우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단기적 사용은 좋지만 인지적 능력 자체를 향상시키는 것은 아니다.
성인이 ADHD(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라면 처음엔 소통을 잘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주변사람들과 소통이 안되는 모습을 보인다. 성인 ADHD 환자들은 사회성이 떨어지고 불안증세가 동반된다. 대화에 어울리지 못하고 엉뚱한 소리를 하기도 한다. 몸은 컸지만 속은 어린 아이같다는 평을 많이 듣는다. 후천적 ADHD는 도파민이 부족해져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나타나면서 소근육 협응이 안 되고, 학습장애를 보이면서, 정서적으로도 불안정한 질병인 ADHD(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는 소아와 초등학생에게 많이 발생한다. 말 그대로 주의 집중을 못하고 과다행동을 보이는 아이들에게 내려지는 진단명이다. 소아와 초등학생 나이대의 아이들은 행동이 통제되지 않을 때가 있지만, 일상에 지장이 생길 정도로 산만하고 공부를 따라가기 어렵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