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는 고온장해로 장미의 뿌리 자람이 부진해 양분 흡수가 불량하면서 영양결핍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양분을 보충해 주는 등 가을철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장미재배농가 기술지원을 강화키로 했다. 특히 고품질 장미꽃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일교차가 커지는 시기에 노균병과 흰가루병 예방이 필수적이다. 노균병은 저온 다습한 환경에 야간에 안개가 끼거나 이슬이 맺힐 정도의 높은 습도일 때 발생이 심하다. 이에 따라 밤 습도가 85% 이하로 내려가도록 난방이나 환기를 해 주고 병이 발생했던 포장에서는 병든 잎을 없애 확산을 막아야 한다. 병든 잎 제거 후에는 옥사실엠 수화제나 메타실엠 수화제를 살포해 방제를 실시한다. 흰가루병은 주로 새가지, 어린잎, 잎자루, 가시 등에 발생하며 심하면 꽃자루, 꽃받침, 꽃잎 등에도 생겨 잎이 울룩불룩해지고 더 심해지면 비틀리기도 한다. 흰가루병은 비료 사용에 따라 발생정도에 차이가 나는데 질소비료를 적게 주고 칼리비료를 많이 주면 병 발생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흰가루병 방제약은 내성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계통이 다른 약제를 번갈아 살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용 약제로는 산요루, 푸르겐, 칸투스, 실버스타, 스트로비, 해비치 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