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팜 오일 재배면적 늘어 비료수요도 증가

유기질비료 장려···보조·융자금 지원제도 강화

말레이시아 식물 재배 면적이 늘어나면서 비료의 사용량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KOTRA 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비즈니스센터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비료 수입액은 연간 평균 약 25억 링깃에서 20007년 58억3000만 링깃, 2008년 91억7000만 링깃으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 7월 8일 시작돼 12월 8일에 바닥을 친 팜 오일 원유(CPO) 가격의 급락으로 비료 시장은 침체기를 맞았으나 지난해 후반부터 팜 오일 원유 가격이 회복되기 시작해 올해 5월부터 안정세에 접어들어 비료수요도 늘어나기 시작했다.

팜 오일은 말레이시아의 주요 농업상품이며 세계적으로 식물성 기름의 주된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세계적으로 식물성 기름인 팜 오일 제품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팜 오일 재배 면적이 늘어나고 있어 말레이시아의 비료 수요도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말레이시아에서 사용되는 비료의 90%는 무기질 비료로 요소, 황산암모늄, 인회암, 염화칼륨, 인산암모늄, 황산, 마그네슘 비료, 붕산염, 질산칼륨, 황산 칼리, NPK 혼합물, NPK 또는 NK 혼합 비료 등이 있다.
 
말레이시아는 2008년 91억7000만 링깃을 들여 약 416만 톤의 무기질 비료를 수입했으며, 비료가격이 상승하면서 현지 생산된 여러 형태의 유기질 비료의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유기질비료의 수요증가는 천연자원 사용과 관리에 대한 정부의 장려정책이 힘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비료 사용과 품질관리 연구 강화
특히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고 균형 잡힌 영양분 공급을 가능케 하는 효율적인 흡수력을 가지며, 간편한 처리, 저장 사용방법 등의 이점을 가진 NPK 혼합 비료의 잠재 사용량은 더욱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요소, 암모늄을 기초로 한 유기농 비료는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다. 다만 말레이시아에서 사용되는 요소는 현지 생산된 원료가 아니며, 말레이시아에서 생산된 프릴 요소는 더 나은 가격으로 국제 시장에 수출되고 있다. 대부분의 말레이시아 현지 비료 회사들은 혼합 비료의 혼합, 벌크 혼합, 비료원료 생산 등에 나서고 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농업을 국가 경제의 제3 원동력으로 추진하면서 소규모 벼 재배 농가들의 농장수입을 개선하기 위한 비료 보조 및 융자금 등의 지원제도를 강화하고 있다. 또 적절한 비료 사용법을 장려하고 작물 수확량 개선을 위한 올바른 농업 기술 제공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비료 사용과 품질 관리에 대한 연구를 강화해 공급자들이 대형 비료를 살 형편이 안 되는 소작농들을 위한 소형 비료팩(25㎏)을 생산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