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이들 해충이 단감 잎이 5~6매 전개되는 시기인 4월말~5월초에 가장 많이 발생되나 올해는 낮은 온도가 계속된 만큼 5월 중순부터 철저한 방제를 해야만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장님노린재는 단감 잎이 전개되는 4월 중순부터 어린잎에서 즙액을 빨아먹어 상처부위에 갈색반점을 만들고 잎이 자라면서 불규칙하게 구멍이 확장되는 천공증상을 발생시킨다. 심한 경우 잎 피해율이 30%이상 되며 꽃눈의 꽃받침 아래를 흡즙해 꿏눈이 개화하지 못하고 꽃이 떨어져 생산량까지 낮아진다. 감관총채벌레는 과수원 주변에서 월동한 성충이 단감으로 이동해 잎에 피해를 주는데 잎이 세로로 말리는 기형이 되고 그 안에 수 십 마리의 감관총채벌레가 모여 흡즙하며 일부는 어린 과실을 가해해 상품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장님노린재는 방제 약제를 나무 전체에 살포하고 감관총채벌레는 일주일 간격으로 2회 방제한 후 개화가 완전히 됐거나 수정이 됐다고 판단되면 추가로 방제해 주는 것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