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3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작물보호제

기후변화로 단감 둥근무늬낙엽병 작년보다 빨라져

자낭포자가 비산하는 시기 반드시 방제해야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단감나무 둥근무늬낙엽병이 작년보다 빨리 올 것으로 예상된다.

단감나무에 둥근무늬낙엽병에 걸리면 조기에 낙엽이 되고, 과실 착색이 빨라지지만 과실이 무르고 맛이 없어 상품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가격 또한 크게 하락하는 경우가 많다. 단감재배 농업인이 고품질과를 생산하여 제값을 받기 위해서는 둥근무늬낙엽병의 철저한 방제가 필요한데, 기존의 둥근무늬낙엽병 방제 시기는 6월 상순부터이나 최근 기온이 높아짐에 따라 둥근무늬낙엽병 자낭포자 비산시기가 빨라져 방제시기도 앞당기는 것이 좋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원장 이상대) 단감연구소는 둥근무늬낙엽병 자낭포자 비산시기를 조사한 결과, 이번 달 중순부터 자낭포자가 공기 중에 비산되기 시작하여 6월 하순에서 7월 상순에 급격히 증가하다가 점차 줄어 8월 하순까지 비산할 것으로 보고했다. 특히, 자낭포자가 비산을 시작하는 5월 중순, 6월 상중순, 6월 하순, 7월 상순 등 4회는 반드시 방제하는 것이 좋다고.

경남도 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김성철 박사는 둥근무늬낙엽병을 효율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적용 약제를 사용하여 옆 뒷면에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살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하였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