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이사장 김신길) 신임 전무이사에 이기중 전 농림축산식품부 부이사관이 취임했다. 이기중 신임 전무이사는 취임 첫날인 지난 1일 직원들과 상견례를 한 뒤 공식 업무를 본격 시작했다. 앞으로 팀별 주요 업무 추진상황을 보고 받으며, 조합 및 농업기계 산업의 주요 현안을 챙길 계획이다. 이날 이 전무이사는 취임사를 통해 “지난 31년간 공직생활을 하면서 쌓은 경험과 지혜를 발휘해 조합원을 적극 뒷받침 하고, 농업기계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도록 전력을 다하겠다”며 “조직과 산업을 세심하게 살피고, 열린 마음으로 경청하고 존중하는 전무이사가 되겠다”고 밝혔다. 이기중 신임 전무이사는 1962년생으로 건국대학교 수의학과를 졸업, 동대학 수의 전염병학 석사과정을 마쳤다. 이후 1990년 공직에 입문해 식약처 농축수산물안전과장, 농림축산검역본부 서울지역본부장, 농림축산식품부 방역정책국 조류인플루엔자 과장 등을 역임하는 등 탁월한 정책기획력과 업무추진력을 겸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김춘진)는 8월 23일 자로 실시한 하반기 인사에서 식품진흥처장에 윤미정 처장을 공사 창사 이래 첫 여성 처장으로 임명했다. 윤미정 처장은 2016년에 공사 최초 여성 2급 부장으로 승진한 데 이어 이번 최초 여성 처장 등 ‘여성 1호’ 타이틀을 이어오고 있다. 윤 처장은 1991년 입사한 이래 수출, 홍보, 전시컨벤션 등의 업무에서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한편, 공사는 지난 7월 창립 반세기 만에 최초 여성 상임이사인 배옥병 수급이사를 선임하는 등 양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왔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김춘진 사장은 “여성관리자의 비율을 늘려나가는 것과 함께 이들에게 도전적인 업무 기회 부여와 경력관리를 통해 수준 높은 대국민 공공서비스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과장급 전보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질병관리부 동물보호과장 기술서기관 김정욱 (농림축산식품부)
▲ 주재관 인사발령 외교부 (주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대사관) 기술서기관 홍기옥 (농림축산검역본부호남지역본부장)
▲ 과장급 전보 코로나19대책반장 기술서기관 윤광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충남지원장) 빅데이터전략담당관 기술서기관 조민경 (코로나19대책반장) 기획조정실 정책기획관실 기획재정담당관 부이사관 박선우 (재해보험정책과장) 기획조정실 정책기획관실 규제개혁법무담당관 서기관 박나영 (농림축산식품부) 농업정책국 농업정책과장 서기관 최봉순 (농림축산검역본부동물질병관리부동물보호과장) 농업정책국 재해보험정책과장 서기관 강민철 (규제개혁법무담당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장 서기관 김재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농업정보과장) 농식품공무원교육원 교육기획과장 서기관 안종현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수산대학 기술서기관 하종수 (국립종자원동부지원장) 국립종자원 서기관 전길종 (농식품공무원교육원교육기획과장) ▲ 주재관 인사발령 농림축산식품부 기술서기관 이정석 (외교부) 외교부 (주벨기에왕국대사관 겸주유럽연합대사관) 서기관 김상진 (기획재정담당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김춘진)는 12일 신임 상임이사(수급이사)에 배옥병 (사)전국먹거리연대 공동대표를 선임했다. 공사 상임이사에 여성이 임명된 것은 1967년 공사 창립 이래 최초이며, 임기는 2023년 7월 11일까지 2년이다. 배옥병 수급이사는 충남 청양 출신으로 성공회대학교를 졸업했으며, 더불어민주당 먹거리특별위원회 위원장, 서울특별시 먹거리정책자문관, 친환경무상급식풀뿌리국민연대 상임대표 등을 역임했다. 배 수급이사는 농산물의 수급안정을 위한 수급관리, 비축사업, 식량관리 부서를 총괄한다.
▣ 과장급 <승진> ○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교육훈련지원과장 양 지 순 (梁 智 順) ▣ 4급(서기관) <승진> ○ 기획조정관실 기획재정담당관실 김 현 동 (金 玄 東) ○ 운영지원과 황 남 희 (黃 南 姬) ○ 국립축산과학원 운영지원과 윤 의 순 (尹 義 淳) ▣ 4급(기술서기관) <승진> ○ 기획조정관실 지식정보화담당관실 김 태 균 (金 泰 均)
□ 팀장급 임용 (3명) 홍보실 이정민 (책임연구원) ⇒ 홍보실장 기술사업본부 기술성과확산팀 김찬주 (책임연구원) ⇒ 기술성과확산팀장 디지털농업본부 농기계검정팀 한태호 (책임연구원) ⇒ 농기계검정팀장 □ 팀장급 전보 (2명) 기술성과확산팀장 박병도 (전문위원) ⇒ 감사실장 홍보실장 문지은 (책임연구원) ⇒ 치유농업지원팀장
▲국장급 명예퇴직 명예퇴직 일반직고위공무원 노수현 (농림축산식품부)
▣ 도원장 <승진> ○ 충청북도 농업기술원장 서 형 호 (徐 炯 鎬) ▣ 도원국장 <승진> ○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 김 희 준 (金 熙 峻) ○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 권 오 도 (權 五 道) ○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기술지원국장 김 남 균 (金 南 均) ○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농촌지원국장 조 영 숙 (趙 英 淑) ▣ 과장급 개방형직위 ○ 감사담당관 김 윤 수 (金 潤 秀) ▣ 과장급 승진 및 전보 <승진> ○ 기획조정관실 지식정보화담당관 이 병 연 (李 炳 淵) ○ 기획조정관실 고객지원담당관 문 규 철 (文 奎 喆) ○ 코로나19대응영농기술지원반장 우 강 하 (禹 岡 河) ○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밭농업기계화연구팀장 김 영 근 (金 暎 根) ○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명자원부 유전자공학과장 김 경 환 (金 京 煥) ○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장 김 영 (金 영) ○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부작물과장 고 종 철 (高 鍾 喆) ○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논이용작물과장 김 병 주 (金 炳 鑄)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장 장 갑 열 (張 甲 烈) <전보> ○ 국립원예특작
㈜융전(회장 권옥술. 구.카프코)이 이달 21일부터 신입 및 경력사원 공개채용에 들어갔다. 융전은 1979년 창립된 회사로 친환경비료, 농약, 유기농업자재를 생산해 수출 및 국내 농업기술센터, 농협, 시중판매상에 공급하는 전문기업으로 충북 옥천에 융전생물화학연구소와 제 1공장 및 제2공장, 농작물시험연구농장을 갖춘 회사다. 금번 모집공고는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꿈을 펼칠 패기와 끈기를 갖춘 인재를 모집하고 새로운 창업정신을 실현하기 위해 서울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사옥(융전빌딩)에 서울사무소를 새로이 개소했다. 모집분야는 마케팅분야의 신입·경력직 채용공고로 남녀 구분이 없으며 고졸이상(농고·농대출신 우대)이면 누구나 지원이 가능하다. 모집기간은 이달 21일부터 내달 16일까지다. 전형방법은 지원서를 접수하고 서류전형, 1차 면접과 인턴기간을 거쳐 최종합격자를 선발할 예정이다. 근무지역은 서울, 경기를 비롯해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경북, 제주이다. 인턴과정 수료 후 최종 합격자 지역에 우선 배치할 예정이다. 권옥술 회장은 “꿈을 펼쳐 나갈 패기와 끈기를 갖춘 인재를 모집하면서 새로운 창업정신과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채용
▲국장급 승진 방역정책국장 일반직 고위공무원 박정훈 (축산정책과장) ▲ 국장급 명예퇴직 명예퇴직 일반직 고위공무원 김대균 (방역정책국장)
시판과 제조사의 든든한 가교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강원농회농약판매업협동조합(이사장 김형철, 이하 강원농회판매조합)는 1998년 뜻을 같이한 지역 농우종묘와 흥농종묘 대리점 28명이 모여 친목회를 구성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2002년 4월 ㈜강원농회를 설립하면서 체계를 갖추었으며, 2006년 기존 주주 25명과 신규 조합원 30명이 모여 지금의 강원농회판매조합을 설립했다. 김형철 이사장은 “설립 당시부터 강원농회 판매조합 안살림을 맡아 온 김순희 부장을 비롯해 손용일 과장과 정주현 대리가 회원들의 권익을 위해 힘과 열정을 갖고 노력하고 있다”며 “소통과 화합을 위해 조합원들의 애로사항과 건의에 귀 기울이고 제조회사와 긴밀하고 우호적인 관계 유지에도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강원농회판매조합은 조합원과 제조사가 서로의 정보와 역량을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가교역할에 충실함으로써 함께 성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강원농회판매조합은 김형철 이사장과 김순희 부장을 포함해 4명의 임직원이 45명의 조합원과 함께 연간 130억원 정도의 매출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운영비 절감을 위해 창고는 운영하고 있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매출이 큰 조합원의 역차별을 방지하기 위해
2007년에 설립된 대전세종충남식물보호제 판매업협동조합(이사장 정충용. 이하 대전세종 충남식물보호제판매조합)은 투명한 경영을 통해 조합원들의 신뢰를 형성하고 조기 구매 및 결제를 통해 조합원들에게 더욱 많은 이익을 제공함으로써 전국적인 모범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정충용 이사장은 “공동구매를 통한 조합원의 이익을 실현하는 조합은 무엇보다 투명한 경영과 상호 신뢰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특히 신뢰의 힘이 없었다면 지금의 조합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조합을 이끄는 이사장은 개인의 명예나 이익보다는 조합원을 위한 봉사 정신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세종충남식물보호제판매조합은 정충용 이사장과 임홍빈 전무를 포함한 5명의 임직원과 65명의 조합원이 함께 연간 약 220억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특히 다른 조합에 비해 출자금을 최소화함으로써 조합원들의 가입 및 탈퇴를 조금 더 자유롭게 하고 있는 것과 물류창고를 운영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임홍빈 전무는 “창립 초기부터 협동조합의 목적인 조합원의 권익을 최우선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특히 조합 이사장의 경우, 명예직으로 순수하게 조합 및 조합원을 위해 봉사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