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3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기고

전체기사 보기

반크로프트사상충 발생지역 도시화

사람에게는 흡혈할 때 1~2마리가 침입하고 장기간에 걸쳐 중복감염이 이루어지면 증상 발현

지난 호에 이어 흡혈성 위생 해충인 이들 모기에 기생하는 선충에 관하여 알아보자. Q. 정남준 기자(이하 정기자) 말레이 사상충에도 형이 있나? A. 추호렬 박사(이하 추박사) 말레이 사상충에도 2가지 형이 있다. 야간주기성과 야간아주기성이 있다. 야간주기성은 주로 늪모기에 의하여 매개되고 야간아주기성은 늪모기, 얼룩날개모기, 들모기 등이 매개한다. 야간아주기성은 원숭이, 개, 고양이 등의 동물에도 기생한다. Q. 정기자 사상충의 발생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나? A. 추박사 매개 모기의 발생 밀도가 높은 지역에 국한하여 병소지를 형성한다. 매개 모기의 발생 장소가 많고 적음에 의하여 좌우된다. 예를 들면, 말레이사상충은 농촌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고 반크로프트사상충은 발생지역이 도시화하고 있다. 즉, 도시 곳곳에 열대집모기의 발생 장소가 많아져 증가하고 있다. Q. 정기자 사상충의 일생과 전염경로는 어떻게 되나? A. 추박사 흡혈할 때 모기의 위에 들어간 자충(마이크로필라리아)은 위벽을 뚫고 가슴부위의 근육조직에 들어가 발육한다. 2회의 탈피 끝에 3령충은 모기의 주둥이로 이동하여 흡혈하기를 기다린다. 외적 잠복기간은 온도에 좌우된다. 그리고 모기가 흡혈할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