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독특한 색깔과 모양의 ‘이색 과일’이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세월의 흐름에 따라 식품 트렌드도 변화하고 있다. 채소의 경우 다양한 기능성 채소가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건강과 맛 어느 것 하나 놓칠 수 없는 다양한 종자들이 2019년을 기다리고 있는 가운데 올 한해 사랑받을 종자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소비자들에게 사랑받고 농가소득은 끌어올려줄 황금 종자는 어떤 것이 있을지 알아보자. 아시아종묘(주) - ‘빅칼라’ 고추/ ‘칼라포스’ 고추 / ‘칼라강&칼라퍼팩트’ 고추 아람종묘 - ‘눈개승마’ 삼나물/ ‘부지갱이’ 섬쑥부쟁이 / 어수리 농업회사법인 동오시드(주) - 'PR킹카‘ 고추 / ‘오레오’ 대파 / ‘동오하이트’ 옥수수 (주)팜한농 - ‘불칼라’ 고추 / ‘TS 챔프’ 고추 / ‘하이스타’ 배추 농업회사법인 권농종묘(주) - ‘조대강’ 고추 / ‘권농빨강’ 봄배추 / ‘선풍골드’ 상추 농업회사법인 농우바이오(주) - ‘지티세븐(GT-7)’ 고추 / ‘지티파이브(GT-5)’ 고추 / ‘칼탄패스’ 고추 농업회사법인 삼성종묘(주) - ‘조생흑미’ 수박 / ‘큰열’ 고추 / ‘황룡포’ 수박
국내 종자기업을 선도하는 농우바이오(사장 최유현)에 멕시코 1등 종자기업인 마 시드(Mar Seed)의 로베르토(Roberto) 사장일행이 방문해 상호교류의 폭을 넓히는 시간을 가졌다. 마 시드는 아메리카 지역의 농우바이오 단일 거래처로는 가장 매출이 큰 회사 중의 하나다. 이번 방문을 통해 멕시코에서 할라피뇨 고추 종자를 중심으로 농우바이오 브랜드 종자 판매의 지속 증가와 북중미, 남아메리카 주변 국가에서의 브랜드 이미지를 높여주는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감을 높여줬다. 로베르토 사장은 “농우바이오가 대한민국 1등 종자 기업이라는 것은 익히 알고 있었다”며 “실제 본사를 방문해 보니 기업 규모가 글로벌 종자 기업들과 비교해 봐도 손색이 없는 시설과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에 감명을 받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최유현 사장은 로베르토 사장의 방문을 환영하고 멕시코 현지에서 농우바이오 종자를 널리 알리는데 협조를 아끼지 않는 것에 대한 감사와 함께 앞으로도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해 나갈 것을 제안했다. 농우바이오 관계자는 “지난해 미국현지법인을 통해 북중미, 남아메리카 지역에 750만불을 수출했다”며 “올해는 마 시드와의 관계 증진을 통해 전년도보다 50
2007년에 설립된 대전세종충남식물보호제 판매업협동조합(이사장 정충용. 이하 대전세종 충남식물보호제판매조합)은 투명한 경영을 통해 조합원들의 신뢰를 형성하고 조기 구매 및 결제를 통해 조합원들에게 더욱 많은 이익을 제공함으로써 전국적인 모범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정충용 이사장은 “공동구매를 통한 조합원의 이익을 실현하는 조합은 무엇보다 투명한 경영과 상호 신뢰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특히 신뢰의 힘이 없었다면 지금의 조합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조합을 이끄는 이사장은 개인의 명예나 이익보다는 조합원을 위한 봉사 정신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세종충남식물보호제판매조합은 정충용 이사장과 임홍빈 전무를 포함한 5명의 임직원과 65명의 조합원이 함께 연간 약 220억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특히 다른 조합에 비해 출자금을 최소화함으로써 조합원들의 가입 및 탈퇴를 조금 더 자유롭게 하고 있는 것과 물류창고를 운영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임홍빈 전무는 “창립 초기부터 협동조합의 목적인 조합원의 권익을 최우선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특히 조합 이사장의 경우, 명예직으로 순수하게 조합 및 조합원을 위해 봉사하고 있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 이형준 이사장 설립 첫해부터 320억 원이라는 남다른 매출을 올리며, 조합원의 결속과 성장의 모범 답안을 보여온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이하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을 방문해 2008년 설립 당시부터 이사로써 운영에 참여해 그 누구보다 열심히 달려 온 제6대 이형준 이사장을 만났다.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은 2007년 초대 정원호 이사장(㈜풍년케미컬)이 2008년 제2대부터 4년의 임기로 2020년까지 연임했으며, 이어 제5대 김대기 이사장(아리랑농약사)을 거쳐 제6대 이형준 이사장(한농농자재상사)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이형준 이사장은 “초대 정원호 이사장이 다져놓은 기반을 더욱 견고히 하고자 제5대 김대기 이사장이 4년의 임기 동안 제시한 키워드는 ‘공감’이었다”며 “이제는 공감의 시대를 지나 함께 미래를 키워가는 ‘성장’을 키워드로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와 관련, 2030 비전 ‘농민과 함께, 미래를 키우는 조합’을 수립하고 이를 실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은 2008년 설립 당시 80명의 조합원이 각각 2,000만 원씩 출자해 자본금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