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자재신문=박혜린 기자] 20일 밤 11시에 방송된 tvN ‘수요일은 음악프로’(연출 류호진)에서는 첫 회식을 위해 노래방을 방문한 전현무, 김준호, 존박, 김재환의 모습이 그려진다. 카더가든의 무대에 이어 존박은 미니 콘서트를 방불케하는 실력을 뽐냈다. 한껏 달아오른 회식 분위기 속 예상치 못한 노래방 탈출 미션이 예고돼 흥미진진함을 돋운다. 각 방에 숨겨둔 미션을 모두 성공해야 노래방을 빠져나갈 수 있는 것. 노래방 지옥에서 탈출하기 위한 멤버들의 처절한 몸부림이 시선을 사로잡을 예정. 마이크를 놓지 않아 “질린다”는 야유를 얻으면서도 개인 콘서트 수준의 화려한 무대를 보여준 전현무, 폭발적인 가창력을 선보인 존박, 김재환, 카더가든, ‘뼈그맨’ 김준호와 넘치는 끼로 중무장한 황보라의 포복절도 노래방 탈출기는 지난 방송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기자재신문=박혜린 기자] 박시현이 본인의 SNS에 사진을 올려 팬들의 시선을 집중시켰다. 지난 16일 박시현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근황 사진을 게재했다. 게재된 사진과 “오늘도 힘내보까욤 . . @onechampionship”라는 내용을 본 팬들은 “이뻐요”, “베이징오셨군여어ㅏㅏ” 등의 댓글을 남기며 소통을 했다. 한편 박시현은 인스타그램을 통해 팬들에게 본인의 근황을 공개했었다.
[농기자재신문=박혜린 기자] 진이한이 본인의 SNS를 통해 근황을 공개했다. 19일 진이한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오랜만이라 떨렸지만 편하게 해주셔서 즐겁게 촬영 했습니다. 특별한 요리 너무 맛있었어요. 감사합니다”라는 글과 함께 사진을 게재했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ㅎㅎ 갑자기 만두 먹고싶은~~”, “봣답니닷”, “탈 탈”, “오빤 언제봐도 동안 미남”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농기자재신문=박혜린 기자] 조수현이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팬들에게 일상을 공개했다. 19일 조수현은 마스크를 쓰고 있는 사진을 공개 했는데, 이를 본 조수현의 팬들은 “안전지대~~~ 오랫만에 보내요~~~ ㅎㅎ”, “여자는 핑크지”, “철가면이 생각이 나네요^^”, “뭐야 안전지대 ㅋㅋ ㅋㅋ”, “잘지내지” 등의 다양한 반응을 댓글로 남겼다. 한편 조수현은 인스타그램을 통해 일상을 공개함으로써 팬들과 소통을 하고 있다.
[농기자재신문=박혜린 기자] ‘개그콘서트’ 속 코너 ‘셀럽언니’에 진정한 셀럽 송경아가 나타나 시선을 사로잡았다. 상상초월 패션 노하우로 시청자들에게 꿀팁을 선사하고 있는 ‘셀럽언니’에서 진정한 패션고수 송경아가 등장해 화끈한 분위기로 패션 수업을 시작한다. 유명한 용가리 포즈(?)와 다리가 길어 보이게 사진 찍는 꿀팁, 차원이 다른 캣 워킹까지 선보이며 우월한 모델포스로 시선을 빼앗는다. 송경아는 자신을 고깝게 여기는 정태호에게 직설적인 팩트 폭력을 날리며 신경전을 벌인다. 패션노하우를 알려주는 정태호를 밀어내며 견제하는가 하면 포스가 작렬하는 워킹을 선보이며 찐셀럽언니의 면모로 폭소를 터뜨렸다.
[농기자재신문=박혜린 기자] 윤상이 팬들에게 자신의 근황을 알렸다. 윤상은 지난 19일 인스타그램에 사진과 함께 “부끄러운거아니야 분장해서그래”라는 글로 근황을 공개했다. 공개된 사진을 본 윤상의 팬들은 “저게 뭐람...”, “스웩”, “이야 증말......ㅋㅋㅋㅋㅋㅋㅋㅋ”, “뭐야 ㅋㅋㅋㅋ왜케 귀여워???”, “ㅋㅋㅋㅋ볼터칰ㅋㅋㅋㅋㅋ난리”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이며 윤상과 소통했다. 한편 윤상은 평소에도 인스타그램을 통해 팬들에게 본인의 근황을 공개했었다.
[농기자재신문=박혜린 기자] 17일 신소연은 “지금,여기,우리”라며 사진을 공개했다. 신소연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게재한 사진에서 아름다운 모습으로 앉아 있는 모습이 포착됐다. 한편 신소연은 예전부터 인스타그램에 사진을 올리는 등 팬들과의 소통에 힘쓰고 있다.
[농기자재신문=박혜린 기자] 조현재가 본인의 SNS를 통해 근황을 알려 눈길을 끌었다. 17일 조현재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비가 많이 오네요 ~^^”라는 글과 함께 사진을 게재해 팬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를 본 팬들은 “겁나리 잘생기셨군”, “자알생겼다요~~^^”, “턱선이 살아있어요^^ 멋집니다^^”, “너무멋져요” 등의 댓글을 남겼다.
[농기자재신문=박혜린 기자] 17일 오전 재방송된 KBS1 교양프로 'TV는 사랑을 싣고'에는 이주실이 출연했다. 이주실은 지난 15일 방송된 KBS1 'TV는 사랑을 싣고'에 출연해 과거 유방암 선고를 받았던 당시의 심경과 탈북 청소년들을 가르치게 된 계기를 밝혔다. "딸들을 보내고 나니 나도 누군가를 돕고 돌바주는 일을 해야겠다 싶더라. 마침 북한 청소년들을 만날 기회가 생겨서 가르쳤다"고 덧붙였다. 이주실은 기다림 끝에 연락이 끊어졌던 이창호와 다시 만날 수 있었다. 이창호는 "잘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는데 그런 모습을 못보여줬다. 그래서 차마 연락을 드릴 수 없었다"고 말했고, 이주실은 "그런 건 중요하지 않다. 하고싶은 것 하면 된다. 뜻이 있으면 길이 있다"고 다독였다.
[농기자재신문=박혜린 기자] 오나미가 본인의 SNS에 사진을 올려 팬들의 시선을 집중시켰다. 지난 15일 오나미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근황 사진을 게재했다. 게재된 사진과 “내사랑 오하은 오백원 두개로”라는 내용을 본 팬들은 “조카가 예뻐요 귀여워요”, “으아 하은이 넘 귀엽네요~”, “귀여버라”, “어떡해ㅠㅠ 너무 귀여워요”, “너무 이쁘고 귀여워요^^” 등의 댓글을 남기며 소통을 했다. 한편 오나미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팬들에게 본인의 근황을 공개했었다.
[농기자재신문=박혜린 기자] 임하나가 팬들에게 자신의 근황을 알렸다. 임하나는 지난 19일 인스타그램에 사진과 함께 “오늘은 뉴스 촬영 있는 날 주5일 만나는”라는 글로 근황을 공개했다. 공개된 사진을 본 임하나의 팬들은 “예쁘세요오늘도화이팅^^”, “네^^늘응원합니다”, “감기조심하세요”, “제가 더 감사하죠~”, “감기조심하세요”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이며 임하나와 소통했다. 한편 임하나는 평소에도 인스타그램을 통해 팬들에게 본인의 근황을 공개했었다.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 이형준 이사장 설립 첫해부터 320억 원이라는 남다른 매출을 올리며, 조합원의 결속과 성장의 모범 답안을 보여온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이하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을 방문해 2008년 설립 당시부터 이사로써 운영에 참여해 그 누구보다 열심히 달려 온 제6대 이형준 이사장을 만났다.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은 2007년 초대 정원호 이사장(㈜풍년케미컬)이 2008년 제2대부터 4년의 임기로 2020년까지 연임했으며, 이어 제5대 김대기 이사장(아리랑농약사)을 거쳐 제6대 이형준 이사장(한농농자재상사)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이형준 이사장은 “초대 정원호 이사장이 다져놓은 기반을 더욱 견고히 하고자 제5대 김대기 이사장이 4년의 임기 동안 제시한 키워드는 ‘공감’이었다”며 “이제는 공감의 시대를 지나 함께 미래를 키워가는 ‘성장’을 키워드로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와 관련, 2030 비전 ‘농민과 함께, 미래를 키우는 조합’을 수립하고 이를 실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은 2008년 설립 당시 80명의 조합원이 각각 2,000만 원씩 출자해 자본금 1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이하 ‘농특위’)는 8월 18일 오전 11시, 동 위원회 대회의실에서 김 호 위원장의 취임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농특위 사무국 전 직원은 물론, 대통령실 농림축산비서관실과 유관 부처 실장들이 함께 자리하였다. 김 위원장은 취임사에서 “정책의 출발과 완성은 현장에 있다는 믿음으로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가 현장, 대통령실 그리고 정부간의 소통·협력의 구심점이 될 것”이며, “현장과 직접 대화·소통·협력하여 정책 대전환과 위기극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농어업·농어촌·농어민은 식량주권·식량안보의 최후 보루이자, 생태·환경 보전과 지역공동체 유지를 위한 핵심기반임을 강조하며, 기후위기·농어업위기·식량위기, 농어촌 고령화와 농어업인력 부족, 글로벌 통상 문제, 급변하는 국제정세 등 복합적인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하였다. 지속가능한 3농(농어민·농어업·농어촌) 전략을 새롭게 설계하고 대전환을 이끌 수 있도록 학자로서의 전문성과 현장과의 소통 역량을 바탕으로 현장과 정책을 잇는 가교자의 사명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표했다. 김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의 농정과제가 성공적으로 이행되어 지속가능한 3농을 실현하고 국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