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농식품 수확후 관리센터’ 설립 필요성 제기

수확후 손실 연간 3조원…컨트롤타워 필요해

농식품수확후관리 분야의 효율적인 연구개발과 기술보급을 위해선 관련분야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수 있는 가칭 ‘농식품 수확후 관리센터’의 설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수확후관리협회와 농수축산신문이 지난 8일부터 11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개최한 ‘2012농식품수확후관리포럼 심포지엄’에서 김종기 한국수확후관리협회장(중앙대 교수)은 이같이 센터 설립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김 회장은 “국내 수확후 손실률은 30% 가량으로 연간 약 3조원에 달하고 있지만 작물 생산에 기울이는 노력만큼 수확후 품질관리에 대한 정책적 배려는 아직 미약한 상황”이라며 “산지유통센터의 역할 및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전담 기술지원 조직이 없어 비효율적인 운영이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이에 따라 “수확후 관리기술을 토대로 한 제반 유통제도 및 규정 개선이 시급하다”면서 “수확후 관리기술 연구와 기술보급을 주도할 정부 주도의 ‘농식품 수확후 관리센터’의 설립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장문철 합천농협연합사업단장도 “현장에서 기술적인 애로를 겪을 때가 많은 데 마땅히 이러한 문제에 대해 자문을 구하거나 논의할 전문기구가 없다”며 “국가차원에서 수확후관리에 대한 총괄적인 사령탑 역할을 할 수 있는 조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완배 서울대 교수는 “수확후 관리센터의 필요성에 대한 반론은 없을 것"이라며 "다만 실행단계에서 행정소요와 정책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