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맹형규 행정안전부장관)와 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달 26일 전국 소 및 돼지에 대한 구제역 2차 예방접종이 모두 완료돼 향후 백신 항체가 형성되는 1~2주 후부터는 구제역 발생이 진정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맹형규 중앙대책본부장은 “정부는 예방접종이 완료돼 구제역이 진정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더욱 철저하게 범정부적인 협조체계를 계속 유지하고 축산 농가에 대한 차단 방역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제역 1차 예방접종은 지난해 12월 25일부터 올해 1월 31일까지 예방약 수급상황, 축종별·지역별 발생상황 등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실시했다. 2차 접종은 항체형성 기간을 고려해 1월 26일부터 2월 26일까지 총 1170만 마리에 대해 실시했다. 농식품부는 앞으로 구제역 방지를 위해 지속적인 추가접종과 신규 출생 가축에 대한 예방접종을 정기적으로 실시키로 하고 이를 위해 금년 하반기 예방백신 소요물량 중 1555만 마리분을 추가로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또 백신항체가 6개월간 유지되기 때문에 실시하는 추가접종은 향후 2차접종후 6개월 간격으로 실시하고 구제역 감염우려가 있는 사슴과 염소 37만 마리분에 대해서도 2월말까지 보관분을 활용해 예방접종토록해 발생위험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축산단체, 축산업 비하 대응 나서 축산단체들은 최근 구제역 사태와 관련 형성되고 있는 반축산 정서에 대해 대응에 나섰다. 전국한우협회(회장 남호경)와 한국낙농육우협회(회장 이승호), 대한양돈협회(회장 이병모) 3개 단체장들은 지난달 23일 서초동 소재 음식점에서 긴급 오찬회동을 갖고 최근 확산되고 있는 반(反)축산 정서에 대해 적극 대응키로 했다. 이날 단체장들은 “구제역과 관련한 축산농민 책임론과 매몰지 환경문제 등이 부각되는 등 반 축산정서가 도를 넘어서고 있다”면서 “축산업 비하 및 무용론에 대해 조기 진화가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를 위해 축산관련단체협의회를 통한 언론사의 축산비하 보도 자제 요청 문서발송과 소비자단체 간담회 등을 추진키로 했다. 또 최근 정부의 농가 책임론에 이은 보상금 차등 강화방침에 대해서도 강력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농경연, 양돈·낙농 피해 2014년 복구 한편 농촌경제연구원은 구제역으로 인해 양돈·낙농 분야의 피해복구가 2014년이나 돼야 가능할 것으로 분석했다. 또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AI) 등 가축전염병의 영향으로 올해 돼지고기값과 우유값, 오리고기값, 계란값 등이 크게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농경연은 지난달 22일 ‘농업전망 2011’ 보고서를 통해 한우와 육우는 구제역 발생에 따른 매몰처분으로 올해 사육 증가세가 크게 둔화돼 전년보다 1%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돼지의 사육마릿수는 690만 마리로 전년보다 29.7% 감소하고 돼지고기 생산량도 20% 이상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돼지고기값은 작년보다 크게 올라 kg당 5800원∼6000원 선에 거래될 것으로 예측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