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수산식품부는 2011년부터 향후 10년 동안 7조원 이상의 자금을 투입해 생명산업을 육성한다. 잠재적으로 높은 부가가치를 지닌 생명산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기 위한 조치라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생명산업2020 + 발전전략’을 마련하고 지난 7일 aT센터 중회의실에서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주관으로 의견 수렴을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농식품부가 마련한 ‘생명산업2020 + 발전전략’의 핵심은 동·식물 등 생명자원을 활용해 인간에게 유익한 고부가가치 제품을 창출하는 미래 산업을 발굴, 중점 육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발전가능성이 높은 종자, 기능성·의약소재, 동물의약품, 미생물, 바이오에너지 및 애완·관상동식물 산업 등 6대 분야를 선정하고 집중 육성키로 했다. 생명자원 35만점 확대 ‘세계 5위’ 발전전략에 따르면 이들 6대 산업 육성에 필요한 생명자원을 최대한 확보하는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이들 분야에 연구개발(R&D)을 포함해 내년부터 향후 10년 동안 총 7조4639억원을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내년도에 4045억원이 투자되고 2012년부터는 예산당국과 협의를 거쳐 예산을 확보한다는 복안이다. 발전전략은 또 ▲세계 수준의 생명자원 확보 및 종합정보시스템(DB) 구축 ▲생명공학(BT)·나노기술(NT) 등 융복합 기술 연구개발(R&D) 확대 ▲생명산업 기업 육성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보유한 유전체 등 생명자원은 현재 21만점(세계 6위)인데 이를 2020년까지 34만점(세계 5위)으로 확대한다는 것이다. 연구개발(R&D) 기능도 강화해 천연의약 기술소재, 품종 육종, 바이오에너지 등 분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13%에 머무르고 있는 특성평가비율을 2020년도에 80%까지 확대하며 기관별, 분야별로 관리되는 생명자원 종합정보시스템(DB)을 구축하기 위해 2011년부터 2013년도까지 60억원을 투자, 자원정보검색부터 분양까지 One-Stop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차세대 바이오그린 21사업’ 착수 기존 ‘농림기술개발’을 ‘생명산업기술개발’ 사업으로 개편해 내년부터 향후 10년 동안 1조1964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농생명 분야 원천기술연구를 위해 ‘차세대 바이오그린 21사업’을 내년부터 착수한다. 이 사업은 2020년까지 10년 동안 8150억원을 투자해 유전체 해석, 유용한 유전자 발굴, 바이오 장기생산기술 등을 연구하게 된다. 특히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추진한 21세기 프론티어사업결과로 나온 연구성과 중 생명산업분야를 산업화하기 위한 ‘생명자원 소재의 산업화 기술개발’에 2012년에서 2021년까지 총 1조3860억원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현재 예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생명산업 기업에 대한 민간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농식품 모태펀드 조성에도 적극 나선다. 올해 597억원에서 2020년까지 1조원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민간 육종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첨단시설을 갖춘 민간육종단지를 조성하고 약용작물을 활용한 천연색소 산업화지원센터 등도 설립하기로 했다. 민간육종단지 조성을 위해서는 내년부터 2015년까지 270억원을 투입하고 전문인력 양성 방안으로 15개 농업연구센터(ARC) 연간 10억원씩 총 1500억원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 대학과 연구기관, 산업체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산학관연 협의체를 구성키로 했다. “산업체 연계된 R&BD 강화 필요” 심재규 농식품부 종자생명산업과장은 “현재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의 시장규모는 10조4734억원에 달한다”면서 “앞으로 발전전략을 통해 10년 후에는 30조원에 육박하는 산업으로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광용 국립농업과학원장은 토론에서 “생명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산업화 성공사례 개척 및 확산이 중요하다”며 “민간지원 예산의 대폭 확충을 통해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고 2030년 차기 계획 수립시에는 민간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사업중심의 기획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정봉진 동부한농 상무는 “생명산업과 생명자원의 정의를 보다 명확히 하는 것이 혼란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면서 “연구의 주체가 주로 대학과 농진청, 산림연구원 등 국공립연구소 중심으로 이뤄져 있고 생명자원을 확보 유지하는 방안의 구체성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정 상무는 이에 따라 “실용화재단 및 산업체 특히 대기업과 연계된 R&BD 강화가 필요하다”면서 “국내외 관련기관, 대학과 국제협력 강화를 통한 자원 확보와 이를 위한 정부의 과감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