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이 지난 3일 동력파종기 6기종에 대해 신기술 농업기계로 지정 예정되었음을 사전 예고 했다. 사전예고된 동력파종기는 (주)불스(대표 남영 조)의 'BG-800BC' 외 2기종과 황금파종기(대 표 문동길)의 ‘9조식’외 2기종으로 총6기종이다. 이번에 지정예고 된 (주)불스의 기종들은 트렉터부착형 점파식 동력파종기로 복토디스크 각도와 높이 조절로 복토량을 조절하고 비닐폭 조절 및 비닐을 잡아주는 장치가 부탁되 어 있으며 경운, 두둑성형 및 비닐피복과 동시에 파종이 가능하다. 각 기종별 특징을 보면 ‘BG-800-BC(2조2두 둑)’는 하단폭이 좁은 2두둑성형장치로 둥근 두 둑을 형성하며, ‘BG-900BC(2조1두둑)’는 배수 관리가 용이한 지역에서 평두둑을 형성한다. ‘BG-2400BC(4조2두둑)’는 하단폭이 넓은 2두둑의 두둑성형장치로 대단위 재배지역에 적합하다. 황금파종기의 기종들은 종자 손상을 최소화 하는 파종 디스크판을 사용하고, 종자 공급 관의 크기 조정으로 종자 배출이 용이하다. 또한 종자보충조절기로 종자의 크기와 씨앗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각 기종별 특징을 보면 ‘HG900A(9조식)'는 45~60마력 트랙터에 부착하여 콩, 보리, 밀
(주)불스(대표이사 남영조)는 올해 신제품으로 트랙터 부착형 양파·마늘 줄기절단기 ‘BG-1200SC'(이하 줄기절단기)를 출시했다. 줄기절단기는 불스가 다년간 연구개발을 통해 완성하여 농업인들이 직접 검정한 제품으로 양파·마늘 재배농가의 일손을 획기적으로 줄였다는 평을 받고 있다. 특히 줄기절단기는 ICT융합 스마트 작업기로서 조작의 편리성과 함께 줄기절단 길이의 자동조절은 물론 최적화된 흡입식 줄기전단으로 생줄기는 물론 마른줄기 등 수분함량에 관계없이 완벽한 절단을 자랑한다. 또한, 절단 파쇄된 줄기는 고랑으로 이송 낙하되어 비닐 수거 및 수확작업이 용이하며, 작물에손상이 없다. 불스 관계자는 “노동력 절감 등 생산비 절감 효과가 뚜렷해 농가소득 제고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작업범위도 4조식부터 8조식까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해 농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했다”고 밝혔다.
2007년에 설립된 대전세종충남식물보호제 판매업협동조합(이사장 정충용. 이하 대전세종 충남식물보호제판매조합)은 투명한 경영을 통해 조합원들의 신뢰를 형성하고 조기 구매 및 결제를 통해 조합원들에게 더욱 많은 이익을 제공함으로써 전국적인 모범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정충용 이사장은 “공동구매를 통한 조합원의 이익을 실현하는 조합은 무엇보다 투명한 경영과 상호 신뢰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특히 신뢰의 힘이 없었다면 지금의 조합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조합을 이끄는 이사장은 개인의 명예나 이익보다는 조합원을 위한 봉사 정신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세종충남식물보호제판매조합은 정충용 이사장과 임홍빈 전무를 포함한 5명의 임직원과 65명의 조합원이 함께 연간 약 220억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특히 다른 조합에 비해 출자금을 최소화함으로써 조합원들의 가입 및 탈퇴를 조금 더 자유롭게 하고 있는 것과 물류창고를 운영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임홍빈 전무는 “창립 초기부터 협동조합의 목적인 조합원의 권익을 최우선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특히 조합 이사장의 경우, 명예직으로 순수하게 조합 및 조합원을 위해 봉사하고 있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 이형준 이사장 설립 첫해부터 320억 원이라는 남다른 매출을 올리며, 조합원의 결속과 성장의 모범 답안을 보여온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이하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을 방문해 2008년 설립 당시부터 이사로써 운영에 참여해 그 누구보다 열심히 달려 온 제6대 이형준 이사장을 만났다.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은 2007년 초대 정원호 이사장(㈜풍년케미컬)이 2008년 제2대부터 4년의 임기로 2020년까지 연임했으며, 이어 제5대 김대기 이사장(아리랑농약사)을 거쳐 제6대 이형준 이사장(한농농자재상사)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이형준 이사장은 “초대 정원호 이사장이 다져놓은 기반을 더욱 견고히 하고자 제5대 김대기 이사장이 4년의 임기 동안 제시한 키워드는 ‘공감’이었다”며 “이제는 공감의 시대를 지나 함께 미래를 키워가는 ‘성장’을 키워드로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와 관련, 2030 비전 ‘농민과 함께, 미래를 키우는 조합’을 수립하고 이를 실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은 2008년 설립 당시 80명의 조합원이 각각 2,000만 원씩 출자해 자본금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