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차가워지면서 따뜻한 시설하우스로 찾아드는 나방류 퇴치를 위해 방충망, 페로몬트랩을 설치하면서 약제저항성으로 인해 초기에 방제해야 효과적으로 피해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가을 국화 재배가 한창인 이달은 밤나방류 피해가 크기 때문에 방제에 신경 써 줄 것을 당부했다. 국화에 피해를 입히는 밤나방류는 파밤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 목화바둑명나방 등이 있다. 시설하우스 안으로 들어오면 방제가 어렵기 때문에 출입구와 측장을 비롯한 틈새에 방충망을 설치해 유입경로를 차단해야 한다. 새로운 줄기나 꽃봉오리 피해로 상품성 저하 밤나방류 애벌레는 새로운 줄기나 꽃봉오리에 피해를 입혀 상품성을 떨어뜨리며 피해를 입힌다. 국화 꽃봉오리가 피해를 입으면 꽃이 피지 않거나 출하시기를 놓치게 돼 안정적인 생산이 어렵게 된다. 특히, 애벌레가 꽃봉오리 안으로 들어가면 약제를 뿌려도 방제가 잘 되지 않으므로 사전 방제가 중요하다. 파밤나방의 성충은 앞날개가 폭이 좁은 황갈색이며, 날개 중앙에 청백색 또는 황색점이 있고 옆에 콩팥무늬가 있다. 특히 파밤나방 애벌레 초기에는 1mm정도에 불과하지만 닥치는데로 먹는 습성으로 인해 원래 몸의 35배로 커지는 대식가로 알려져
최근 시설재배 단지에서 잡식성 해충인 담배거세미나방의 피해가 커져 농가들이 골치를 앓고 있어 방제가 시급하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담배거세미나방은 거의 모든 채소류와 전작물을 가해한다. 어린유충은 잎 뒷면에 무리지어 가해하다가 3령 이후 분산하며, 낮에는 숨어 있다가 밤에 잎, 꽃봉오리, 꽃을 폭식하여 심한 경우 줄기만 남는다. 기주범위가 아주 넓어 대부분의 채소류와 전작물에 피해를 준다. 남부지방에 발생이 많고 파밤나방과 혼재하는 경우가 많으며, 해에 따라 돌발적으로 대발생한다. 여름철 노지재배 및 하우스 작물에 피해가 크고, 겨울철 가온 재배하는 시설 내에도 발생하여 피해를 준다. 대발생하는 경우 피해가 크며 주로 남부지역에 발생이 많다. 빛에 끌리는 성질, 청색형광등에 잘 모여 성충은 15~20mm 정도이며, 날개 편 길이는 34~41mm 정도로서 날개의 무늬가 복잡하다. 숫컷의 앞날개 2/3정도에서 뒤쪽으로 비스듬한 회청백색 띠가 있으나 암컷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 뒷날개는 희고 약간 투명하여 아름답다. 성충은 낮에는 잎 뒷면과 줄기 등에서 숨어 쉬다가 밤에 활동하며, 빛에 끌리는 성질이 있어 청색형광등에 잘 모여든다. 밤에 잎 뒷면에 산란하며, 알덩
경기, 충남, 전북, 강원 등 전국에서 멸강나방 애벌레가 확인됐다. 이 에 따라 농작물 재배지를 미리 살펴보고 발견 즉시 방제해야 더 큰 피 해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황갈색 머리에 갈색의 ‘八’자 무늬가 특징 멸강나방은 한국, 중국, 일본, 대만, 인도, 네팔, 파기스탄, 아프가니스 탄, 필리핀, 스리랑카, 미크로네시아, 호주, 뉴질랜드, 우즈베키스탄 남 부, 러시아 일부 등에 분포하는 나방과 해충. 어른벌레는 몸길이가 18㎜ 내외이며, 날개를 편 길이는 40㎜ 가량인 중간크기로 담갈색의 앞날개 중앙에 황백색 무늬가 1개 있고 뒷날개는 암갈색이다. 알은 길이 1㎜로 수백개가 무더기로 발견되며, 산란초기에는 연한 황백 색이지만 점차 암갈색으로 변한다. 애벌레는 몸 색깔의 변이가 많고, 어 른벌레는 머리는 황갈색으로 앞에서 보면 갈색의 ‘八’자 무늬가 있다. 멸강나방은 일반적으로 중국에서 날아와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4월경부터 어른벌레가 관찰되지만, 보통 5 월 하순~6월 상순에 많이 날아온 탓에 어른벌레가 많이 보인다. 애벌레 의 먹이가 되는 기주식물은 벼·보리·밀·옥수수·조·수수·귀리 등 벼과 식물 대부분이고,
2007년에 설립된 대전세종충남식물보호제 판매업협동조합(이사장 정충용. 이하 대전세종 충남식물보호제판매조합)은 투명한 경영을 통해 조합원들의 신뢰를 형성하고 조기 구매 및 결제를 통해 조합원들에게 더욱 많은 이익을 제공함으로써 전국적인 모범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정충용 이사장은 “공동구매를 통한 조합원의 이익을 실현하는 조합은 무엇보다 투명한 경영과 상호 신뢰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특히 신뢰의 힘이 없었다면 지금의 조합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조합을 이끄는 이사장은 개인의 명예나 이익보다는 조합원을 위한 봉사 정신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세종충남식물보호제판매조합은 정충용 이사장과 임홍빈 전무를 포함한 5명의 임직원과 65명의 조합원이 함께 연간 약 220억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특히 다른 조합에 비해 출자금을 최소화함으로써 조합원들의 가입 및 탈퇴를 조금 더 자유롭게 하고 있는 것과 물류창고를 운영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임홍빈 전무는 “창립 초기부터 협동조합의 목적인 조합원의 권익을 최우선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특히 조합 이사장의 경우, 명예직으로 순수하게 조합 및 조합원을 위해 봉사하고 있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 이형준 이사장 설립 첫해부터 320억 원이라는 남다른 매출을 올리며, 조합원의 결속과 성장의 모범 답안을 보여온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이하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을 방문해 2008년 설립 당시부터 이사로써 운영에 참여해 그 누구보다 열심히 달려 온 제6대 이형준 이사장을 만났다.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은 2007년 초대 정원호 이사장(㈜풍년케미컬)이 2008년 제2대부터 4년의 임기로 2020년까지 연임했으며, 이어 제5대 김대기 이사장(아리랑농약사)을 거쳐 제6대 이형준 이사장(한농농자재상사)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이형준 이사장은 “초대 정원호 이사장이 다져놓은 기반을 더욱 견고히 하고자 제5대 김대기 이사장이 4년의 임기 동안 제시한 키워드는 ‘공감’이었다”며 “이제는 공감의 시대를 지나 함께 미래를 키워가는 ‘성장’을 키워드로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와 관련, 2030 비전 ‘농민과 함께, 미래를 키우는 조합’을 수립하고 이를 실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은 2008년 설립 당시 80명의 조합원이 각각 2,000만 원씩 출자해 자본금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