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공시-2-6-041 강력한 해충 방제효과 성분 함유 제로싹 제로싹은 해충의 운동신경을 마비시키는 제충국추출물과 데리스 추출물, 히카마 종자 추출물 및 식물성 오일 등이 주원료 이며 천연 피레스린과 로테논 성분을 모두 함유하고 있어 해충 방제에 효과적인 유기농업자재이다. 유기농업자재 중 제품의 성분과 함량을 보증하고 적용작물과 병해충에 대한 효능과 품질을 보증하는 제품으로 오이(목화진딧물), 벼(먹노린재, 흑다리긴노린재), 배추(배추좀나방) 및 외래해충인 복숭아(미국선녀벌레·갈색날개매미충)에 대한 약효시험에서 기준에 적합한 방제효과를 보이고 있는 “효능효과 표시 등록제품”이다. [충해관리용, 유기농업자재] 공시-2-5-102 해충 방제효과 성분 업그레이드 엔에프(NF) 충가라 충가라 제품은 농약 잔류 등의 문제가 없는 기능성 충제로 해충 방제에 효과적인 성분을 업그레이드한 충해관리용 유기농업자재로서 2021년 신제품이다. 유기농업자재 중 제품의 성분과 함량을 보증하고 적용 작물과 병해충에 대한 효능과 품질을 보증하는 제품으로 (벼)혹명나방에 대한 약효시험에서 기준에 적합한 방제효과를 보이고 있는 “효능효과 표시 등록제품” 으로 원
| 병해충관리용 | 공시-2-6-034 동시탄 미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병해충 동시 방제에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사리아자바니카(Isaria javanica)가 분비하는 다이부틸 숙시네이트(dibutyl succinate)를 유효성분으로 강한 살충 살균 효과를 지니고 있다. 동시탄은 전남대학교와농촌진흥청 미생물과의 공동연구로 개발된 제품이다. | 작물생육용 | 공시-2-2-211 바이오닥터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는 경제협력권사업육성사업으로 개발된 제품으로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어 식물병 저항성을 유도한다. 수도작의 발생 병원균에 대해 예방효과가 탁월하다. 향균 효과가 뛰어나며 작물의 생리 장해로 인한 발육부진 및 환경 장애 극복에 도움이 된다. | 병해충관리용 | 공시-2-6-059 파워백신 농림축산식품부지원 연구 사업으로 전남대학교와 공동연구 개발한 제품이다. 미생물추출물로 술팍틴(Sulfactin)이 유효 성분이며 병해충 예방 및 방제 효과를 가진다. 살충효과를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진딧물과 응애에 대한 방제효과에 대한 연구가 전남대학교와 공동으로 진행되었다. | 충해관리용 | 공시-2-5-173 다자바 충해관리용 제품으로 마트린을 원료로 사용하여 해충의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 이형준 이사장 설립 첫해부터 320억 원이라는 남다른 매출을 올리며, 조합원의 결속과 성장의 모범 답안을 보여온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이하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을 방문해 2008년 설립 당시부터 이사로써 운영에 참여해 그 누구보다 열심히 달려 온 제6대 이형준 이사장을 만났다.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은 2007년 초대 정원호 이사장(㈜풍년케미컬)이 2008년 제2대부터 4년의 임기로 2020년까지 연임했으며, 이어 제5대 김대기 이사장(아리랑농약사)을 거쳐 제6대 이형준 이사장(한농농자재상사)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이형준 이사장은 “초대 정원호 이사장이 다져놓은 기반을 더욱 견고히 하고자 제5대 김대기 이사장이 4년의 임기 동안 제시한 키워드는 ‘공감’이었다”며 “이제는 공감의 시대를 지나 함께 미래를 키워가는 ‘성장’을 키워드로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와 관련, 2030 비전 ‘농민과 함께, 미래를 키우는 조합’을 수립하고 이를 실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은 2008년 설립 당시 80명의 조합원이 각각 2,000만 원씩 출자해 자본금 1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이하 ‘농특위’)는 8월 18일 오전 11시, 동 위원회 대회의실에서 김 호 위원장의 취임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농특위 사무국 전 직원은 물론, 대통령실 농림축산비서관실과 유관 부처 실장들이 함께 자리하였다. 김 위원장은 취임사에서 “정책의 출발과 완성은 현장에 있다는 믿음으로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가 현장, 대통령실 그리고 정부간의 소통·협력의 구심점이 될 것”이며, “현장과 직접 대화·소통·협력하여 정책 대전환과 위기극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농어업·농어촌·농어민은 식량주권·식량안보의 최후 보루이자, 생태·환경 보전과 지역공동체 유지를 위한 핵심기반임을 강조하며, 기후위기·농어업위기·식량위기, 농어촌 고령화와 농어업인력 부족, 글로벌 통상 문제, 급변하는 국제정세 등 복합적인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하였다. 지속가능한 3농(농어민·농어업·농어촌) 전략을 새롭게 설계하고 대전환을 이끌 수 있도록 학자로서의 전문성과 현장과의 소통 역량을 바탕으로 현장과 정책을 잇는 가교자의 사명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표했다. 김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의 농정과제가 성공적으로 이행되어 지속가능한 3농을 실현하고 국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