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장관 변창흠)는 인천(옹진군), 경기(포천시), 대전(서구), 세종, 광주(북구), 울산(울주군), 제주도 등 전국 15개 지자체의 33개 구역을 「드론법」에 따른 드론 전용 규제특구인 ‘드론 특별자유화구역‘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드론산업의 발전을 위해 ‘드론 실증도시' 등 실증지원 사업을 통해 새로운 드론 서비스를 발굴하고 실증하는데 집중해왔으나, 실제 실증에 이르기까지 거쳐야 하는 많은 규제로 인해 기업들에게 많은 불편이 있어 온 것이 사실이다. ‘드론 특별자유화구역’에서는 드론 기체의 안전성을 사전에 검증하는 특별감항증명과 안전성 인증, 드론비행 시 적용되는 사전 비행승인 등 규제를 면제하거나 완화해 5개월 이상의 실증기간이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 7월 최초로 시행한 ‘드론 특별자유화구역’의 공모에는 총33개 지자체에서 참여했으며, 국방부·군부대와의 공역협의와 현지실사, 민간전문가 평가, 드론산업실무협의체 심의 등 7개월간의 절차를 거쳐 최종 15개 지자체의 33개 구역이 선정됐다. 최종 선정된 지자체는 ▲환경 모니터링(제주도, 경남창원, 충남태안), ▲드론 교통·물류배송(인천옹진, 광주북구, 전남고흥), ▲시설물 점검(경
국내 1위 농기계 기업 대동공업(공동대표이사 김준식, 원유현)은 국내 업체 최초로 3.8리터(ℓ) 디젤 엔진 개발을 완료하고 양산에 돌입한다고 16일 밝혔다. 농기계 시장이 점차 대형화되면서 경쟁력이 있는 대형 농기계 라인업을 구축하고 엔진 판매 사업 확대를 위해 좀 더 높은 마력의 엔진이 필요하다고 판단, 약 4년의 시간과 200억원의 연구개발 투자로 이번 엔진을 개발하게 됐다. 대동의 3.8ℓ 엔진은 오프로드 장비에 최적화된, 95~140마력(hp)까지 다양한 출력 대응이 가능한 고성능 엔진이다. 엔진 본체 및 기어트레인 최적화 설계로 동급 대비 고출력, 고토크를 실현했고 연비까지 뛰어나다. 여기에 오일필터 교환, 오일주유, 오일게이지 점검 등이 측면 집중 구조라 정비가 용이한 것이 장점이다. 대동공업은 3.8ℓ 디젤 엔진을 포함해 현재 추진 중인 25마력 이하 0.8ℓ, 1.2ℓ 소형 엔진 개발이 완료되면 농기계 및 다양한 장비에 탑재되는 풀라인업을 갖추게 되고, 다양한 요구 사항들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3.8ℓ 엔진을 올해 1분기 출시하는 국내 농기계 업계 최초의 140마력대 트랙터인 HX시리즈에 채택해 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며 기존 트랙터, 콤바인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적인 이상기후가 잦아지면서 해를 거듭할수록 작물생산량 감소 등 많은 농업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미 세계 선진 농산업 기업들은 기존의 비료·농약·종자로 해결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음을 인식하고 다양한 대응 방안을 모색 중이다. 그 중 대표적으로 기상이변대응제[바이오스티뮬런트(Bio-Stimulant)]라는 새로운해결방안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기상이변을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해법 기상이변대응제 BS농법의 선두주자 바이오스티뮬런트(Bio-Stimulant), 약칭 ‘BS’는 직역하면 생물촉진제, 의역하면 생리활성제를 뜻한다. 현재 미국-유럽-일본 순으로 각각 3개국에 바이오스티뮬런트(Bio-Stimulant) 협회가 설립되어 있다. 세계 비료산업의 36개 대표기업이 모여 최초로 협회가 설립된 미국에서는 바이오스티뮬런트의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기구) 과정을 통과시켰다. 또한, 미국 농무부와 미국 바이오스티뮬런트협회가 협력하여 미국의 ‘BS농산업법’ 제정을 준비 중이며 아시아에서는 ㈜바이오플랜만이 유일하게 미국 바이오스티뮬런트협회 회원 자격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올겨울 추위와 따뜻한 날이 반복되는 이상기상이 지속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온실에서 재배하는 수박을 철저히 관리해 달라고 당부했다. 수박은 고온성 작물로 겨울에는 주로 남부지역 온실에서 재배한다. 그러나 대부분 농가에서 비용 절감을 위해 별도의 난방시설 없이 보온만으로 비닐온실 온도를 관리하기 때문에 각별한 환경 관리가 필요하다. 열매가 정상적으로 달려(착과기) 자라게(비대기) 하려면 최소 15도(℃) 이상의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밤낮 기온 차가 크거나 최저 온도가 15도(℃) 밑으로 떨어지면 수꽃의 꽃밥 터짐(개약)이 좋지 않고 꽃가루 힘(활력)이 떨어져 열매가 제대로 열리지 않으며 기형 열매 발생이 늘어난다. 농가에서는 온실에 부직포 등 보온자재를 준비하거나 아주심기 전 전열선을 설치해 갑작스런 추위에 대비한다. 토양 수분, 수박 수정 전부터 관리해야 토양 수분은 수박 수정 전부터 관리해야 한다. 수정 3∼4일 전 토양 수분 상태를 관찰하고 건조하다면 미리 물을 댄다. 열매가 갓 달리기 시작할 때 물을 주면 열매보다 식물체 자람이 왕성해져 열매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열매 크기는 수정 후 12일 안에 결정되므로 열매가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박철웅)은 2021년 봄에 파종할 수 있는 맥류 종자를 신청받아 보급한다고 밝혔다. 종자 신청은 2월 15일(월) 오전 9시부터 종자광장 홈페이지(www.seedplaza.or.kr)에서 신청할 수 있다.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개별신청 메뉴를 통해 신청이 가능하다. 포장단위는 20kg이며, 겉보리의 가격은 21,400원/20kg이고, 쌀보리는 24,000원/20kg, 트리티케일·호밀은 44,240원/20kg이다. 지난 가을 파종한 맥류 종자가 추운 겨울을 나고 새로운 봄을 맞이해 다시 자라날 준비를 하고 있다. 청예로 사용하거나, 가을 파종 시기를 놓쳐 봄 파종이 필요한 경우 종자를 신청하면 된다. 땅이 녹으면 바로 파종하고, 종실 수확이 목적인 경우 작물에 따라 3월 중순까지 파종한계기가 다르기 때문에 파종시기를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봄 파종 맥류 신청 대상은 보리, 트리티케일, 호밀 겉보리 ‘혜미’ 품종은 수량이 많고 쓰러짐에 잘 견디는 특징을 가지고 엿기름용 및 새싹보리용으로 적합하다. 종피가 검정색인 ‘흑다향’ 품종은 폴리페놀 함량이 높아 체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해 세포의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능이 높으며, 보리차용 및 새싹보
서울 강서농산물도매시장(이하 ‘강서시장’)은 지난해 1조 2천억원이 거래되어 2016년 이후 5년 연속 1조원이 넘는 거래금액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김경호)에 따르면, 2020년 강서시장 거래금액은 1조2,106억3,3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2.4% 증가했고, 거래물량은 623,541톤으로 전년 대비 2.4% 감소했다. 봄철 냉해 피해, 여름철 역대 최장 장마와 잦은 태풍 등의 영향으로 전국 도매시장의 거래물량은 대부분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경매제 시장 거래물량은 256,079톤으로 전년 대비 4.4% 감소한 반면, 시장도매인제 시장 거래물량은 367,463톤으로 1.0% 감소했다. 거래금액은 경매제 시장이 4,504억6,300백만원으로 11.6% 증가했고, 시장도매인제 시장이 7,801억6,900백만원으로 12.9% 증가했다. 시장도매인제 시장은 전년대비 1.0% 물량이 감소했지만 2019년 수준을 유지했다. 이는 구매전용 주차장 운영을 통한 마트 등 고객유치 확대, 산지와 긴밀한 협력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사)한국시장도매인연합회는 경북, 대구, 강원 지역 등 산지 설명회를 적극 추진했고, 경북농식품유통교육진흥원·
농산업계가 수년간에 걸쳐 개발한 작물보호제 및 비료·농자재·농기계 등에 대한 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전달하는 정보의 바다 역할을 해 나갈 ‘그린존’을 신설했다. 그린존은 신규로 생산되는 작물보호제 및 비료·친환경·농기계·농자재 등 대한민국에서 생산되는 모든 농업용 제품에 대한 새로운 기술정보를 전달한다. 새롭게 개발 중인 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농업인에게 신속히 전달하여 좋은 제품을 농업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최신 상품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미리 알아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농산업계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농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농업을 실현하며 생산성이 높은 농업시대를 열어가고자 한다. <편집자 주> (주)바이오플랜(대표이사 유승권)이 오랫동안 과수농가들의 고민거리였던 조피피해를 해결할 수 있는 신제품 ‘조피박사’를 출시했다. 조피(粗皮)는 문자 그대로 직역하면 가죽[皮, 가죽 피]이 거칠어지[粗, 거칠 조]는 증상을 말한다. 즉 나무껍질, 수피가 갈라지면서 까칠까칠하게 일어나는 현상으로 나무의 뿌리부터 시작해 주간, 측지에 이르기까지 나무 전체로 확대되면서 피해를 입힌다. 조피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설을 맞아 안전하고 수월하게 산소 잡초를 관리할 수 있는 제초제 사용방법을 소개했다. 산소에 잔디가 싹트기 전인 1∼2월 중순까지 입제형 제초제 6종(디클로베닐입제, 뷰타클로르·디클로베닐입제, 이마자퀸입제, 이마자퀸·펜디메탈린입제, 페녹슐람·피라조설퓨론입제, 플루세토설퓨론·이마자퀸입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뿌리면 한식 전후인 4∼5월까지 잡초 발생을 막을 수 있다. ■ 제초제 사용 : 종자로 번식하는 일년생 및 다년생 잡초 대상 ※ 일반적으로 산소 1기당 면적을 10∼33㎡(3∼10평)으로 환산할 경우 사용량임 입제형 제초제 6종은 눈 덮인 산소에 뿌려도 눈과 함께 녹아 땅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잡초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하지만 이미 싹이 튼 잡초는 제거할 수 없다. 제초제를 정해진 사용량보다 많이 뿌리거나 두 가지 이상을 동시에 뿌리면 잔디까지 죽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용설명서에 적혀 있는 면적당 사용량을 지켜야 한다. 제초제를 뿌릴 때는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비닐장갑이나 고무장갑을 끼고, 바람을 등지고 작업해야 제초제 가루를 들이마시지 않는다. 특히 제초제가 작물 재배지로 유입되면 농약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에 따라 농가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1년 1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08.6포인트) 대비 4.3% 상승한 113.3포인트를 기록했다. *식량가격지수 : (`20.1월)102.5→(3월)95.1→(5월)91.0→(7월)94.0→(9월)97.9→(11월)105.4→(12월)108.6→(`21.1월)113.3 곡물, 전월 대비 7.2% 상승 전년동월 대비 23.6% 상승 옥수수는 미국의 생산량 저조 및 재고 감소, 중국의 대량 구매, 아르헨티나의 수출 일시중단 및 건조한 날씨 영향 등으로 인해 가격이 전월 대비 11.2%, 전년동월 대비 42.3% 상승했다. 밀은 옥수수 가격 강세, 높은 국제 수요, 3월 이후 러시아산 판매량 감소 전망에 따라 가격이 6.8% 상승했다. 쌀은 아시아·아프리카의 높은 수요와 태국·베트남의 공급량 부족으로 인해 가격이 상승했다. 보리는 수요 증가와 옥수수·밀·대두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유지류, 전월 대비 5.9% 상승 전년동월 대비 27.7% 상승 팜유는 폭우로 인해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의 생산량이 예상보다 저조하여 가격이 8년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두유는 아르헨티나의 파업 장기화와 수출량 감소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우리 해외농업개발 기업들이 2020년 한 해 동안 밀·콩·옥수수 등 11만 톤을 국내로 반입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2.5배 증가한 수치라고 밝혔다. * 국내반입량 : ('10) 0.04만톤 → ('15) 1.0 → (’19) 4.4 → (‘20) 10.9(전년비 2.5배↑) 품목별로는 밀 6만8천 톤, 콩 1만 톤, 옥수수 2만5천 톤, 기타 6천 톤이 각각 국내로 공급됐다. 우리나라는 쌀을 제외한 대부분의 곡물을 수입에 의존하는 곡물 수입국으로, 쌀은 자급이 가능하지만, 밀·콩·옥수수 등 곡물은 연간 1천7백만 톤을 수입(2019년 기준)하고 있다. 해외농업개발 사업은 2007년~2008년 국제곡물가격 급등을 계기로 수입의존도가 높은 곡물에 대해 우리 기업들의 해외 생산·유통·반입을 지원해 비상시 반입능력을 확충하기 위해 지난 2009년 시작됐다. 곡물 공급망 다양화 민간투자와 해외정착 지원 이 사업을 통해 국제 곡물메이저에 의존해 오던 곡물 공급망을 다양화하고, 우리 기업의 생산·유통망 진출을 위한 민간 투자와 해외 정착을 지원해 왔다. 그러나, 그간 대규모 물량 취급에 필수적인 곡물유통시설(수출엘리베이터 등)의 확보가 어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박철웅)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신명식)과 함께 오는 9일, “2021년도 농기자재분야 수출지원사업 공동설명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소개되는 수출지원 사업은 농업 전·후방 산업인 ‘농기자재 산업’의 수출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된 사업들로, 이번 설명회에서는 △해외테스트베드 지원사업(실용화재단), △농업기술 해외마케팅 지원사업(실용화재단), △농기자재 수출기업육성사업(농정원) 등 3개 사업이 소개될 예정이다. 이중 재단에서 주관하는 ▲해외테스트베드 사업은 5개국(중·베·카·인·러) 5개소 현지 비교 실증사업으로 약 32제품 내외 선발예정이며, ▲농업기술 해외마케팅 지원사업은 온라인 매칭상담회(7개국), 맞춤형 해외마케팅 지원사업(바우처)이다. 농정원에서 주관하는 ▲농기자재 수출기업육성사업은 해외인허가 취득 지원 및 글로벌 마켓테스트 지원으로 60여개사를 선발할 예정이다. 위 3개 사업에 대한 투입 예산은 전년에 비해 10억원이 증가한 약22억원으로, 보다 많은 기업이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할 전망이다. 특히, 재단은 “농업기술 해외마케팅 지원사업”을 확대해 미국, UAE, 호주 등 7개국에 약 40여개사를 대상
새로운 변화에 앞장서는 <형제농자재마트> 김문수 대표는 충북 청주시에서 농자재유통업을 시작한 지 40년이 넘었다. 그동안 충청북도 농업기술원방제협의회 위원, 청원군 농정협의회 위원, 충청북도안전사업 자문위원, 중소기업중앙회 농식품산업분과 위원회 위원 등 활발한 대외 활동으로 지역 발전을 위해 노력해 왔다. 특히 2003년부터 2020년까지 충북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 이사장을 역임하면서 조합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으며, (사)전국작물보호제유통협회 시지회장(8년)과 도지부장(8년)을 거쳐 2020년 제13대 회장에 당선되어 전국 시판 회원들을 위해 헌신해 온 바 있다. 김문수 대표는 “갈수록 치열해지는 농업 유통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변화에 대해 늘 고민하고 앞장서서 도전해야 한다”며 “실패가 두려워 변화를 외면하고, 도전하지 않는다면 결국 퇴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변화에 발맞춰 따라가기보다는 변화를 예측하고 주도함으로써 시장 경쟁력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농민이 필요한 시기에 원하는 상품을 선택 지역 경제 활성화와 건전한 유통 질서 확립 김문수 대표의 도전 정신과 성공 사례는 전국 최초로 도입한
봉사하는 마음과 왕성한 활동으로 말보다 실천을 우선하는 대전·세종·충남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이하 대전·세종· 충남작물조합) 신원택 이사장은 중부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과 한·중 양국의 주요 인사 교류와 유라시아에서의 선도적 역할 구현을 위해 특별개설된 중국칭화대학 유라시아 CND과정을 수료했다. 1997년부터 금산 농자재백화점을 운영해 오고 있으며, 이와 함께 2010년 대전·세종·충남작물조합 제7대 이사장에 당선되어 현재까지 연임 중이다. 신원택 이사장은 “유통인이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항목은 부지런함” 이라며, “농민이 부지런히 움직이는데 유통인이 제자리에 서 있으면 어떠한 발전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현장에서 모든 문제와 답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누구보다 먼저 부지런히 직접 발로 뛰며 소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왕성한 활동과 현장과의 소통 수많은 표창 및 실적으로 나타나 신원택 이사장의 왕성한 활동력과 현장과의 소통은 대외 활동에서도 잘 나타난다. 현재 맡고 있는 대전·세종·충남작물조합 이사장직을 비롯해 (사)전국작물보호제유통협회(이하 유통협회) 대전·세종·충남 도지부장을 거쳐 제12대 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또한 중소기업중앙회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