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수확기까지 병해충 발생 저감 총력…예찰·점검 강화

2025.09.10 18:00:55

이승돈 농촌진흥청장, 9월 10일 전북 고창 벼·충남 당진 가루쌀 재배단지 방문
벼 생육 후기 벼멸구 등 비래해충 다발생 대응, 예찰·방제 강화 당부
가루쌀 등숙기 생육 점검…‘쌀가루 지역자립형 소비모델 시범 사업’ 살펴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9월 10일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과 충남 당진시 벼 재배단지를 찾아 생육 상황을 살피고, 벼 안정 생산을 위해 수확기까지 병해충 예찰·방제에 총력을 다할 것을 강조했다.

 

 

이 청장은 지난해 대규모 벼멸구 발생으로 심각한 피해를 본 지역의 벼 병해충 예방·경감 대책을 재차 확인하고, 방제 이후 재배단지별 관리 현황을 점검했다.

 

먼저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신림면 일대 벼 재배단지를 둘러본 이 청장은 벼멸구 예찰·방제 추진 상황을 보고 받고, 농업인과 소통하며 재배상 어려움과 기술 수요 등을 청취했다.

 

이 자리에서 “충남, 전북, 전남, 경남 등 서남해안 지역 4개도 20개 시군을 중심으로 중앙-지방 합동 예찰과 현장 기술지원을 통해 벼 비래해충 밀도 저감과 방제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며 “농가에서도 적극적인 예찰과 재배 관리, 병해충 발생 초기 신속 방제로 안정 생산에 총력을 다해달라.”라고 당부했다.

 

현장에 동행한 관계관들에게는 “읍면 농업인상담소, 수도작(벼) 연구회 등과 합동 예찰·발생 상황 점검을 강화해 달라.”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관내 벼 재배 농업인에게 병해충 발생 동향 및 방제 요령을 휴대전화 문자 등으로 안내해 제때 대응토록 독려해 달라.”라고 덧붙였다.

 

이 청장은 벼멸구 발생 시 긴급 공동 방제를 위한 약제 지원 등 신속한 조치 계획을 밝히며, 지난 8월 각 도 농업기술원과 초동대응부터 긴급방제까지 단계별 실행 절차를 점검하는 모의훈련을 실시, 신속한 대응 체계를 갖춰 가고 있다고 말했다.

 

오후에는 충남 당진시 대호지면 가루쌀 이앙 및 직파재배 단지를 찾아 가루쌀 등숙기(이삭 여무는 시기) 생육 점검을 이어갔다. 이곳은 집중호우에도 빠른 퇴수·배수 관리와 병해충 피해 예방 조치로 생육이 비교적 양호하다.

 

이 청장은 “가루쌀(‘바로미2’) 특성을 가지면서도 수발아 발생률이 낮은 ‘바로미3’ 품종을 육성하고, 현재 재배 안정성과 수량성을 검토하는 시범 재배를 실시하고 있다.”라며 “2027년 농가 보급이 가능하도록 국립종자원 등과 협력해 정부 보급종 종자 조기 생산에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또한, 농촌진흥청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고 있는 수발아 예보 서비스를 소개하고, 적극 활용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 청장은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통해 수발아, 고온해, 수해, 저온해 등 9종의 재해 발생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라며 “농업기상 재해 예보 알림 서비스의 정확도를 올리고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해 서비스 고도화에 주력하겠다.”라고 전했다.

 

이 청장은 가루쌀 재배단지 점검을 마친 뒤 당진시 고대면에 있는 ‘농업회사법인 ㈜미소미’를 방문, 시범 사업으로 조성된 가공용 쌀 제분 시설을 둘러보고 가루쌀 과자·빵 제품과 자포니카 장립형 쌀 품종 ‘아미쌀’ 가공품 생산 현황도 파악했다.



이명우 mwlee85@newsam.co.kr
< 저작권자 © 농기자재신문(주)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PC버전으로 보기

전화 : 02-782-0145/ 팩스 : 02-6442-0286 / E-mail : newsAM@newsAM.co.kr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2길 8 미소빌딩 4층 우) 06673 등록번호 : 서울, 아00569 등록연월일 : 2008.5.1 발행연월일 : 2008.6.18 발행인.편집인 : 박경숙 제호 : 뉴스에이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