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 안 보이는 ‘토마토 녹응애’ 증상 살펴 방제하세요

2025.07.28 07:24:51

지속된 고온으로 토마토 농가 녹응애 피해 우려
햇볕에 그을리거나 멜론처럼 그물 형태 나타났다면 발생 의심
수확 일정 고려해 작물 보호제나 유기농업자재로 방제

농촌진흥청은 최근 시설 토마토 재배 농가에서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녹응애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예방 관찰을 통한 조기 방제를 당부했다.

 

고온 건조한 환경에서 많이 발생하는 녹응애는 잎, 줄기, 열매 등 토마토 전체에 기생한다. 크기가 140~180㎛로 매우 작아 맨눈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피해가 진전된 상태에서는 생리장해로 잘못 판단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녹응애 피해는 아래쪽 잎에서 시작해 위쪽 잎으로 서서히 번지는데, 피해를 본 토마토는 줄기와 열매에 녹이 낀 것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심하면 열매에 햇볕에 그을린 자국이나 멜론처럼 그물 형태의 흔적이 생긴다. 어린나무일 때 피해를 본 식물체는 제대로 크지 못하고 잎이 오그라들기도 한다.

 

 

농가에서는 토마토에 피해 증상이 눈에 띌 정도로 나타났다면 녹응애 밀도 증가를 의심해 방제에 나서야 한다. 정확한 확인이 필요할 때는 녹응애 발생이 의심되는 잎을 채취해 가까운 농업기술센터에 의뢰, 20배 이상 확대되는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일반 재배 농가의 경우, 수확 일정과 작물보호제 사용 시기를 고려해 방제를 진행한다. 친환경 재배 농가는 이상 증상을 보이는 식물체를 주기적으로 확인해 응애 방제용 유기농업 자재를 뿌려준다.

 

약제 정보는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psis.rda.go.kr)’ 첫 화면 ‘농약검색’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최경희 원예특작환경과장은 “녹응애는 발견이 어려워 피해가 상당히 진전된 후에야 인지하는 경우가 많다.”라며 “농가에서는 잎의 색 변화나 미세한 이상 징후를 관찰하고 발생 초기 신속하게 방제에 나서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명우 mwlee85@newsam.co.kr
< 저작권자 © 농기자재신문(주)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PC버전으로 보기

전화 : 02-782-0145/ 팩스 : 02-6442-0286 / E-mail : newsAM@newsAM.co.kr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2길 8 미소빌딩 4층 우) 06673 등록번호 : 서울, 아00569 등록연월일 : 2008.5.1 발행연월일 : 2008.6.18 발행인.편집인 : 박경숙 제호 : 뉴스에이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