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중국절수관개 농업구역별 발전계획에 따르면 중국 농업용수 관개시설은 효율성이 떨어지며 시설 대부분이 낙후된 것으로 나타나 향후 5년간 농업용수 관개시설 개선에 1500억 위앤을 투자할 것이라고 발표해 주목받고 있다. Kotra 중국 우한비즈니스센터에 따르면 중국은 13대 물 부족국가 중 하나이며 수자원 보유량이 전 세계 평균의 25%에 그치는 실정이다. 중국의 수자원 사용은 농업용수, 공업용수, 생활용수 등으로 분류되고 농업용수 사용 비율은 유럽의 선진국(38%)과 비교 시 상당히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현재 중국의 관개시설 관련 기업은 500여 개로 대부분 규모가 작고 기술 및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돼 시장선점을 위한 외자기업의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중국 국무원은 환경보호 절수산업에 대해 세제혜택을 부여하고 있어 투자도 용이하다. 1~3년간은 기업의 소득세를 면세하고 4~6년간은 소득세의 50%를 감세해준다. 다만 중국의 서부 지역과 동남부 지역의 관개시설이 다르기 때문에 지역별 분석이 필요로 하고 있다. 서부지역은 엽면관수 관개시설이 많은 반면, 동남부지역은 분무식 관개시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 매년 베이징, 칭다오 등지에서 관개 시설 및 기술에 대한 박람회가 개최되고 이를 통해 지역의 특색 등 정보수집이 가능하다. 중국의 관개시설 관련 사업은 정부 주도로 이뤄지는 대규모 사업이기 때문에 설비생산 및 공사가 모두 가능한 대기업이 수주가 용이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