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미래 기후변화 연구 ‘닻 올리다’

2017.05.23 14:07:48

첨단 연구동서 원예‧식량작물 연구 한창


잦은 기후 변화 현상은 작물 재배에 적합하지 못한 환경으로 평년과 다른 기온이나 햇빛 등의 갑작스런 환경 변화로가 작물에 큰 피해를 준다.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잦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첨단 인공 환경 제어가 가능한 이상기상 연구동(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 인공기상 연구동(국립식량과학원)을 구축해 본격 가동에 나선다고 밝혔다.

 

 

첨단연구동서 배추, 고추, 벼 변화분석


농촌진흥청은 기후 변화로 인한 작물 피해를 줄이기 위한 연구와 기술개발을 위해 극한 재배환경 조건을 인공적으로 다양하게 재현하는 첨단 연구시설을 갖췄다. 이 연구시설의 환경제어 시스템은 외부 환경을 실시간으로 재현하면서 여름철 맑은 날 빛의 세기를 태양광과 비슷한 인공광으로 재현이 가능하다. 온도는 영하 10에서 영상 40까지 정밀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토양은 노지토양과 비슷하게 만들어 뿌리가 잘 자라도록 했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최대 1500ppm까지 높일 수 있어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는데 충분하며, 인공 강우 장치로 시간당 최대 50까지 비를 뿌릴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이 첨단 연구동에서 배추와 고추, 벼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8.5를 적용해 작물의 미래 생육변화를 분석했다.

배추는 잎 표면이 심하게 뒤틀리고 포기가 차지 않았으며 고추는 수정불량 등으로 인해 크기가 매우 작아졌다. 벼는 잘 여물지 않아 현미 완전미율은 16.4%, 낱알무게(천립중)3.5% 줄어 품질이 저하됐다. 이에 따라 벼 생산성은 1990년대(19912000) 대비 2040년대 13.7%, 2060년대 22.2%, 2090년대에는 40%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농촌진흥청에서는 더위에 강하거나 습한 곳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품종 등 내재해성 품종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부터 이 연구동이 본격 가동됨에 따라 지구가 점점 따뜻해지면서 나타날 수 있는 고온, 가뭄 등 작물별 피해양상을 분석해 피해경감 기술 개발을 해나가고자 한다. 더불어, 이 연구시설은 기후 변화 대응 연구를 하는 연구기관, 종자회사, 대학 등에도 개방해 공동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김선희 redssun@newsam.co.kr
< 저작권자 © 농기자재신문(주)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PC버전으로 보기

전화 : 02-782-0145/ 팩스 : 02-6442-0286 / E-mail : newsAM@newsAM.co.kr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2길 8 미소빌딩 4층 우) 06673 등록번호 : 서울, 아00569 등록연월일 : 2008.5.1 발행연월일 : 2008.6.18 발행인.편집인 : 박경숙 제호 : 뉴스에이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