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과 같이 축산농가에 치우친 축산분뇨정책은“우리 농토를 폐기물처리장으로 만들 수 있다”고 경고한다. 비료업계에서‘바른말 잘하는 강성인물’손꼽히는 박 회장이 말하는 유기비료 정책의 핵심은 품질이다. ◆정부가 선택한 자원화 정책 재고해야 “친환경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유기비료 사용량이 늘어나고 보조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유기비료를 친환경농업의 원료로 생각하는 제조업체의 한 사람으로서 바람직한 정책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품질이 떨어지는 유기비료가 유통돼 토양이 망가지는데 아무도 책임질 사람과 기관이 없습니다.” 박상욱 한국유기비료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품질이 떨어지는 유기비료 유통의 원인으로 정부 정책을 꼬집는다. 축산농가 중심의 축산분뇨 처리 개념 정책으로는 축산분뇨 관리도 제대로 안되고 유기비료의 품질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정부가 밝힌 축산분뇨 자원화를 통해 자연순환농업 촉진 정책은 ‘눈 가리고 아옹’하는 수준이라고 지적한다. 2011년까지‘가축분뇨공동자원화시설’을 70개소로 확대하는 것은 품질보다는 축분 처리에 우선하면서 토양을 폐기물처리장화 하는 것이라고 성토한다. 액비시설임에도 명칭을‘퇴액비 자원화센터’로 변경하는 것은 국민을 기만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기비료업계는 그동안 축산분뇨 비료화에 일등공신이고 그만큼의 전문기술을 갖추고 있습니다. 하지만 업계를 이용하기 보다는 해양투기 되던 15% 내외의 축산분뇨를 처리하기 위해 정부가 선택한 공동자원화시설의 확대는 재원 낭비에 불과합니다. 유기비료업계에 자금지원을 집중해 처리능력을 높이고 비료의 품질 향상을 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수분·발효기간 따라 품질차이 분명해 박 회장은 특히 “정부가 추진하는 액비시설은 오히려 환경오염을 부추길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한다. 토양에서의 악취 문제를 떠나 비료로서의 활용가치도 낮아서 차라리 정화처리 하던지, 퇴비화 과정에서 이용해야 한다고 밝힌다. “그동안 업계는 퇴비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습니다. 품질을 높인 그린퇴비를 만들고 농가에서 원하는 성분함량을 맞춰 제품개발에 앞장서왔습니다. 그러나 정부의 보조정책은 품질보다는 축산분뇨를 처리하겠다는 잘못된 정책으로 흐르고 있습니다.” 박 회장은 계분과 돈분 등의 원료는 수분 함량에 따라 무게도 다르고 발효기간에 차이가 나기 때문에 철저한 중량과 수분함량 검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유기물이 많아야 유기질비료임에도 악취 때문에 공정규격을 완화하면서까지 액비를 토양에 뿌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액비에 대한 지원을 논에 유기질비료를 공급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도 있지만 공정규격을 완화하고 살포비용 지원까지 고려하면서 액비를 뿌리는 것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영양성분도 낮고 악취 민원 발생 등 문제점이 많은 액비를 고집하기 보다는 업계와 함께 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품개발이 우선돼야 할 것입니다. 숨 쉬는 땅을 만들어야지 숨 막히는 땅을 만들어서는 안됩니다.” ◆ 조합품질인증제도는 차별화된 품질 기반 박 회장은 또“땅과 흙이 살아야 농민도 살고, 유기비료업계도 살 수 있다는 것이 신념”이라며 현재의 퇴비 품질관리는 문제점이 많다고 지적한다. 유기물이 많아야 유기비료임에도 수분에 대한 규제가 없다는 지적이다. 박 회장은 이에 따라 “조합품질인증제도는 생산자가 스스로 자기 목 죄는 제도가 될 수도 있다”며“이 제도는 업계 스스로 유기물 함량이 높고 중금속 등 유해성분량을 대폭 낮춰 차별화된 품질을 통해 고객인 농입인에게 한발 더 다가선다는 의미인 만큼 많은 관심과 협조가 필요하다”는 당부를 잊지 않았다. 오는 8월 임기를 마치게 되는 박 회장은“조합 사옥을 짓는 것이 꿈이라며 임기가 끝난 후라도 조합 사옥 마련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또 “조합 내 시험실과 재배시험장을 갖춰 조합이 앞장서 유기비료의 품질을 제고시켜나가는 모습을 보고 싶다”는 바람을 피력했다. 박 회장을 이를 위해서는 재원마련이 필요하고 그 방법으로 조합이 운영하는 포장지회사 설립을 제시했다. 그의 꿈이 실현될 날을 기대하게 하는 대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