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내기 전후 체계 약제 처리…95% 방제”

2012.05.17 10:54:15

저항성 피 발생 직파논, 이듬해 반드시 이앙재배해야

 
▲ 강피 
제초제를 사용해도 ‘잡초’가 죽지 않는다는 일명 제초제 저항성 잡초(슈퍼잡초)의 발표가 잇따르면서 체계적인 잡초방제가 중요시 되고 있다.

특히 모내기 전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약제를 뿌리면 95% 이상 방제할 수 있다는 것이 관련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인용 농촌진흥청 작물보호과 연구관은 “전년도에 발생한 잡초에 따라 제초제 선택을 달리하고 있지만, 최소한 2회는 처리해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면서 “필수적으로 모내기 2~3일전 써레질을 할 때 옥사디아존유제 등과 같은 모내기전 제초제(이앙전처리제)를 뿌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선택적으로 모내기 2~3일전 써레질할 때 옥사디아존유제 등을 뿌린 다음 모내기 후 5일 이내 또는 10~12일 사이에 작년에 발생된 잡초에 따라 알맞은 제초제를 선택해 처리해야 한다.

다만 1차, 2차 모두 실패했을 경우에는 모내기 후 25일경에 중기 경엽처리제를 살포하면 되지만 일손이 많이 필요하고 손쉽게 방제되지 않으므로 가능한 한 초기에 방제해야 한다는 것이 이 연구관의 설명이다.
 
▲ 미국외풀 
이 연구관은 이처럼 제초제를 1, 2차로 나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살포하는 체계처리(이어치기)를 하면 벼 이앙재배 논에서 많이 발생되는 제초제 저항성잡초를 95% 이상 방제할 수 있으며, 수년간 직파재배 논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잡초 제거에도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제초제 저항성잡초는 독성이 적고 효과가 오래가는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를 매년 사용하면서 내성이 생겨 표준량을 사용해도 방제가 되지 않는 잡초를 말한다.

국내 논 잡초 방제용으로 등록된 제초제의 76%를 차지하는 이들이 제초활성의 지속성과 선택성이 탁월해 농업인들이 선호, 반복 이용함으로써 일반 잡초들이 제초제 저항력을 갖게 됐다.
 
▲ 새섬매자기 
국내에서는 물옥잠, 물달개비, 미국외풀, 마디꽃, 올챙이고랭이, 알방동사니, 새섬매자기, 올미, 올챙이자리, 쇠털골, 강피 등 11종이 발견되고 있으며, 2011년 제초제 저항성잡초의 논 발생면적은 전국 논면적(유기 및 친환경농업 재배면적 제외)의 20.9%인 16만7081ha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알방동사니는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강피, 미국외풀, 올미, 마디꽃은 점차 확산되는 경향이다.

발생 추정면적 중 가장 넓은 초종은 물달개비로서 6만5313ha로 전체 39.1%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올챙이고랭이, 알방동사니 순이었다.

이들 3초종은 전국적으로 고르게 발생해 제일 문제되는 잡초들이다. 그리고 미국외풀 1만3964ha(8.4%), 강피 5.1%이었다. (본지 제92호 10면 보도)
 
▲ 물달개비 
수확기까지 생존하면 기하급수적 증가
발생면적이 가장 큰 제초제 저항성 잡초는 포기당 한해 종자 생산량이 물달개비의 종자 생산량은 무려 3000~1만개에 달한다.

올챙이고랭이는 1000~3000개, 피는 3000개 정도로 워낙 많아 수확기까지 생존할 경우 이듬해에는 개체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그 피해도 늘어날 수밖에 없는 만큼 적기 방제가 중요하다.

특히 논에 담수 돼야만 발생하는 물달개비는 담수직파 논 생산량의 70%가 저하시키고 어린모 기계이앙 논에서는 44%가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 알방동사니 
올챙이고랭이는 포기의 기부는 써레질할 때 깊게 묻히면 거의 부패하지만 표토부근에 있는 것은 각각의 눈에서 일시에 싹이 나와 생육하며 포기의 기부는 여러 개의 개체로 떨어져도 각 개체는 눈만 있으면 싹이 나온다.

종자는 광발아성으로 논에서 주로 1㎝이내에서 발생하지만 때로는 3㎝ 깊이에서도 출현이 가능하고 종자번식을 하는 잡초 중에서는 비교적 발생심도가 깊은 종류에 속한다.

피는 방제하지 못할 경우 벼 수량 감소율이 높아 수확포기 상태까지 초래될 수 있다.
 
▲ 올챙이고랭이 
조기진단, 6월 하순 잡초 대상으로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조기진단법은 벼를 5월 하순에서 6월 초순에 파종이나 이앙을 한 후, 10일경에 제초제를 살포하고서 6월 하순에 나타나는 잡초를 대상으로 검정하는 방법이다.

논에 발생한 잡초 주위에 가로 세로 1㎡ 넓이의 둑을 만들고 물높이를 3cm 이상 유지하면서 잡초를 가위로 지표 3cm 높이로 절단한다.

그 다음 시판 3kg 입제는 3g, 아니면 500㎖ 액상 수화제일 경우 0.5㎖를 처리했을 때 3일 후부터 되살아나는 잡초를 저항성잡초로 본다.

만약에 제초제 저항성 잡초로 진단된 잡초가 물달개비나 올챙이고랭이 같이 광엽잡초나 방동사니과 잡초일 경우, 이들을 방제하려면 벤타존이나 페녹슐람 성분의 경엽처리제를 볍씨 파종이나 이앙 후 30일에 추가 살포하면 된다.
 
또한 내년에는 반드시 직파와 이앙 재배에 등록된 제초제를 볍씨 파종과 이앙전 3~5일에 처리한 다음, 파종과 이앙 후 10~15일에 저항성 잡초 전문약제인 벤조비싸이크론, 부로모뷰타이드, 메쏘트리온이 혼합된 제초제를 체계 처리해야 한다.

특히 저항성 피가 발생하고 있는 직파재배 논의 경우, 이듬해에는 반드시 이앙재배로 전환해 이앙 3~5일 전에 등록 제초제를 처리한다.

그 다음으로 이앙 후 10~15일 사이 저항성 피를 방제할 수 있는 메페나셋, 펜트라자마이드, 카펜스톨이 혼합된 제초제를 체계 처리해야 한다.
 
▲ 올미 
초종에 맞는 제초제 적기에 뿌려야,
제초제 저항성 잡초가 발생하고 있는 논은 잡초가 매우 높은 밀도로 발생하고 있어 벼 모내기 전·후에 효과적인 제초제를 선택해 2회에 걸쳐 체계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제초제를 뿌린 후 물을 3∼5cm 깊이로 최소한 3일간 유지해야 한다.

농진청은 최근 남부지역에서부터 벗풀이나 여뀌바늘이 제초제에 저항해 번지고 있기 때문에 지난해 이들 잡초들이 많이 발생했던 논은 ‘카펜트라존’ 성분이 혼합된 제초제를 뿌려줄 것은 주문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논에서 매우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제초제 저항성 피, 물달개비 등을 포함한 문제 잡초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초종에 맞는 제초제를 선택하고 적기에 뿌려야 한다.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한 만큼 약제처리 시기나 적정약량의 사용이 중요하다.
 
한편 농약업계도 체계처리를 강조하며, 저항성 잡초 방제에 효과적인 약제를 선보이면서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주)경농은 피는 물론 저항성잡초까지 동시방제가 가능하며 후발생 잡초에까지 강력한 억초 효과를 발휘하는 수도용 제초제인 ‘마타조’ 입제를 개발 출시해 주목받고 있다.

메타조설퓨론이라는 신물질로 개발된 ‘마타조’ 입제는 기존 설포닐우레아계통의 단점으로 부각됐던 저항성잡초에 대한 미흡한 방제효과를 보완한 점이 특징이다.

잡초를 백화 고사시키는 다른 저항성 방제제와 달리 잡초의 생육을 억제하면서 고사시켜 더 안정적이고 효과적이라는 평가 받고 있다.

(주)경농은 최근 원료공급사인 닛산과 대구공장에서 첫 생산 기념식을 갖고 본격적인 판매에 나서고 있다.
 
○ 필수 : 모내기 전 처리제 살포
○ 선택 : 1차 처리 후 잡초 발생상황에 따라 2차(선택) 체계처리

*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방제기술 각 항에 해당되는 제초제(상표명)

▲ 이앙전 처리제 : 14종
① 옥사디아길유제(톱스타), 옥사디아존 유제(론스타), 펜톡사존액상수화제(미리매), 펜트라자마이드유제(써레매), 펜트라자마이드·옥사디아길유제(오복), 브로모뷰타이드·옥사디아존유제(트랙스타), 브로모뷰타이드·티오벤카브유현탁제(반석), 사이클로설파뮤론·펜트라자마이드수면전개제(노노풀), 티오벤카브입제(사단)
② 벤조비싸이크론액상수화제(나지마), 벤조비사이클론 함유 이앙전 처리제(반들, 초스탑, 아리안나풀, 초보매)

▲ 이앙후 처리제
③ 티오벤카브성분 함유(마이다스, 엄선, 슈퍼유나니)
④ 메페나셋 성분 함유(만냥, 일꾼, 부자성, 무논매), 펜트라자마이드 성분 함유(풀스톱, 종지부, 한번매, 농부랑), 티오벤카브 성분 함유(사단)
⑤ 벤조비싸이크론 성분 함유(풀천왕, 가가호호, 점저미, 모두처, 초보매, 문전옥답, 매직샷, 풀타벤 등), 부로모뷰타이드 성분 함유(초사냥, 불도저, 클로져, 지름길, 노네존, 도마타, 삼지창, 동방불사조 등), 메스트리온 성분 함유(다정토, 테너시티, 하나처, 사또)
⑥ 메페나셑 성분 함유(만냥, 일꾼, 부자성, 무논매), 옥사지크로메폰 성분 함유(반들, 부자왕, 영일농사모, 단판, 간펴내, 만서미), 펜트라자마이드 성분 함유(풀스톱, 종지부, 한번매, 농부랑), 인다노판 성분 함유(일사천리, 정석, 한소리, 조은들, 운수대통, 풀도사), 카펜스트롤 성분 함유(영일스타, 삼지창, 논보험, 마크원, 탑매가, 풀앤콜, 논천하), 카펜스토롤 성분 함유(영일스타, 삼지창, 논보험, 마크원, 탑매가, 풀앤콜, 논천하)
⑦ 카펜트라존 성분 함유(감초논, 영일사초왕, 핵주먹, 위드캅, 노네왕, 태양왕, 하이킥, 충신, 노나내, 여의주, 농부내, 안노처, 아리농부손, 필드왕, 뉴필드왕, 풀마침, 관운장 등)
⑧ 벤조비싸이크론 성분 함유(풀천왕, 가가호호, 점저미, 모두처, 초보매, 문전옥답, 매직샷, 풀타벤 등), 부로모뷰타이드 성분 함유(초사냥, 불도저, 클로져, 지름길, 노네존, 도마타, 삼지창, 동방불사조 등), 메스트리온 성분 함유(다정토, 테너시티, 하나처, 사또)
⑨ 이앙 후 10-12일 : 26종
메페나셋·피라조설퓨론에틸입제(만냥), 새논, 신통방통, 마무리, 굳파머, 만석군, 영일사초왕, 풀천왕, 온동네, 초킬왕, 클로저, 동아아그로불사조, 손모아, 손아네, 주인장, 노나내, 여의주, 태양왕, 영일농사모, 빅쓰리, 논천하, 탑매가, 씨이저, 영일담수왕, 농부네, 수퍼유나니, 모드매
⑩ 이앙 후 25일경 : 4종
벤타존·메코프로프-피액제(초강세), 벤타존·엠시피에이액제(밧사그란엠60), 벤타존·엠시피비에틸미탁제(그란피비-45), 벤타존액제(밧사그란, 풀반장, 경농벤타존, 풀망치 등)


심미진 gaiaone@newsam.co.kr
< 저작권자 © 농기자재신문(주)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PC버전으로 보기

전화 : 02-782-0145/ 팩스 : 02-6442-0286 / E-mail : newsAM@newsAM.co.kr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2길 8 미소빌딩 4층 우) 06673 등록번호 : 서울, 아00569 등록연월일 : 2008.5.1 발행연월일 : 2008.6.18 발행인.편집인 : 박경숙 제호 : 뉴스에이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