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으로 논물 관리해 주는 ‘단순형 자동 물꼬’ 개발

2025.05.12 07:20:06

기존 자동 물꼬보다 기능 단순화하고 유지비 부담 낮춰
흘러대기보다 물 사용량 약 68% 줄고 노동시간 약 79% 단축
올해 현장 실증 시험 거쳐 기술 이전으로 상용화 계획

안정적인 벼 수확량과 품질을 위해 필수적인 논물관리에는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든다. 이런 이유로 물을 흘려보내는 방식(흘러대기)으로 논물을 관리하는 농가가 많아 농업용수가 낭비되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산업체와 함께 자동으로 논물을 관리할 수 있는 경제적인 ‘단순형 자동 물꼬’를 개발했다.

 

 

자동 물꼬는 논에 물이 드나들 수 있는 물꼬를 자동으로 여닫으며 논물을 관리하는 장치이다. 원하는 물 높이를 설정하면 그에 맞춰 자동으로 밸브가 열고 닫히며 물을 관리해 사람이 직접 논에 나가지 않아도 손쉽게 물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물꼬 개폐 이력이 정확히 기록돼 물 관리 기술 적용 여부를 증빙할 수 있어 저탄소 논물관리를 실현할 수 있다.

 

*기존의 물관리 기술(중간물떼기, 걸러대기 등)을 구현하면 감축한 온실가스 감축량에 해당하는 지원금(1톤당 1만 원)이 지급됨

 

농촌진흥청은 산업체(㈜지금강)와 공동연구로 2023년 ‘단순형 자동 물꼬’를 개발했다. 앞서 2022년 개발한 ‘보급형 자동 물꼬’에 대한 농가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 기능을 단순화하고 생산 단가를 절반으로 줄였다.

 

설치가 쉽고 사용이 간편하며 통신비와 전기료가 들지 않아 유지비 부담도 적다. 입수로 쪽의 물꼬를 제어해 논물 사용량을 절약하고 저수지에서 먼 논에도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입수로와 배수로 양쪽 모두에 설치할 수 있다.

 

지난해 국립식량과학원 시험 재배지에서 성능을 평가한 결과, 8~9월간 물 사용량은 기존 흘러대기 방식보다 약 68% 줄었고 논물관리에 투입되는 노동시간은 약 79%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관련 기술에 관한 특허출원을 마치고 올해 충남 천안과 전남 나주 등에서 현장 실증 시험을 진행한다. 현장 적용성 시험을 거쳐 관련 업체에 기술을 이전, 상용화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은 제품 기능과 사용 방법을 담은 홍보 책자(리플릿)를 시군농업기술센터에 배부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의 관수로 사업이나 물 절약 스마트 물 공급 사업 등 다양한 사업과 연계한 대단위 실증연구를 통해 광역 통합 물관리 시스템으로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장재기 재배생리과장은 “이번에 개발한 ‘단순형 자동 물꼬’는 농가의 논물관리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라며 “농업용수를 절약하고 저탄소 논물관리를 이행해 탄소중립 실현과 지속 가능한 농업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전했다.



이명우 mwlee85@newsam.co.kr
< 저작권자 © 농기자재신문(주)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PC버전으로 보기

전화 : 02-782-0145/ 팩스 : 02-6442-0286 / E-mail : newsAM@newsAM.co.kr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2길 8 미소빌딩 4층 우) 06673 등록번호 : 서울, 아00569 등록연월일 : 2008.5.1 발행연월일 : 2008.6.18 발행인.편집인 : 박경숙 제호 : 뉴스에이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