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미생물들이 자기들만의 적자생존 방식으로 치열하게 살아가고 있는 ‘토양’

2022.10.01 08:15:55

미생물 상호간 협조와 견제 잘 이루어져
균형 이뤄야 건강한 토양 형성

마이크로미터와 나노미터 
1m를 1,000,000등분하였을 때의 한 눈금을 1마이크로미터(㎛)라고 한다. 당연히 눈에는 안보이고 광학현미경으로 1,000배 확대해서 관찰해야 분간을 할 수 있는 아주 작은 단위이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실러스 속 세균의 포자가 1마이크로미터 정도 되고 좀 크다고 하는 효모 미생물이 3~5마이크로 미터 정도 된다. 


바이러스의 크기는 대략 0.01~0.1마이크로미터 정도이다. 1마이크로미터를 또 다시 1,000등분을 하면 1나노미터(nm)인데 도저히 상상이 안 가는 아주 작은 단위이다. 그런데 그동안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미물로 여겨졌던 미생물들이 우리의 삶을 좌지우지하고 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미생물들에 의해서 만물의 영장인 우리 사람들의 역사가 바뀌어 온 것에 대하여는 부인할 수가 없다. 

 


사람이 살아가는 방식을 좌지우지하는 미생물
흑사병(페스트)을 발생시키는 아주 조그마한 세균에 의해 유럽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는 바람에 토지와 식량의 여분이 생기고 먹고 살아가는 데에서 자유하고, 걱정이 없어지자 인생의 낭만에 대하여 이야기를 시작하면서 15세기 유럽의 르네상스가 일어난 것도 바로 yersinia sp.라고 하는 세균에 의한 것이다.

또한 1840년대 아일랜드 사람들의 주식 작물인 감자에 역병(phytophthora infestans)이 몇 년씩이나 들불처럼 번져서 수년째 수확을 못하게 되자 어차피 주저 앉아 있으면 굶어 죽을 것은 불 보듯 뻔한데 여기서 죽으나 모험적이지만 미지의 신대륙에 가서 죽으나 마찬가지라는 생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기근을 피해 신대륙 아메리카로 넘어가 오늘날 미국의 선조가 된 것이 아닌가? 


미생물학자인 체임 바이츠만이 세균인 클로스트리듐 아세토부티리쿰(Clostridium acetobutylicum)으로 폭탄을 만드는데 필요했던 아세톤을 대량 생산하지 않았더라면 1차 세계대전에서 영국이 과연 승전국이 될 수 있었을까? 독일을 물리치고 영국을 승전국으로 만들어 준 유태인이었던 체임 바이츠만의 간절한 요청으로 중동의 팔레스타인 민족을 몰아내고 이스라엘을 건국하게 해준 것도 어떻게 보면 미생물의 주도면밀한 계획 가운데 일어난 것일지도 모른다. 


이렇게 미생물에 의해서 우리 인류의 역사 흐름이 크게 바뀌어져 왔다는 것은 어느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지금도 우리의 삶 가운데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15년 메르스바이러스(중동호흡기 증후군)로 인하여 우리 대한민국이 격었던 혼란과 중국 관광객이 발길을 끊는 바람에 입은 경제적 피해, 국민들의 불안 등 메르스 바이러스가 우리에게 주었던 영향은 말로 헤아릴 수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근래 우리를 충격과 공포로 몰아넣었던  COVID-19에 비하면 구우일모(九牛一毛)에 지나지 않았던 것을 그때는 상상도 하지 못했었다.


통계 자료에 의하면 미생물인 곰팡이에 발병되는 식물병으로 인해 농작물 생산량의 36.5%가 감소된다는 결과가 있는 것을 보면 미생물이 농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다. 그래서 식물병충해를 억제하고 사멸시키기 위해 효과적인 농약을 연구 개발하여 농민에게 보급하고 있다.

수없이 많은 화학 살충제와 살균제들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화학농약을 작물에 살포하고 토양에 주기적으로 투입해 주었는데도 식물병원균들은 퇴치가 되지 않고 오히려 더 극성을 부리는 것은 바로 토양의 지력이 현저하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우리 사람도 면역력이 떨어지면 병이 오는 것처럼 토양이나 식물도 똑 같다. 토양의 면역력인 지력(地力) 즉, 땅심이 떨어지면 병이 오는 것이다. 
우리 식구들 중 내가 처음으로 올해 4월에 코로나 양성으로 판별되어 집에서 1주일 격리를 하며 지냈다. 그 후에 아내가 걸리고, 딸이 걸렸었다. 그런데 같은 공간에서 같이 생활했던 아들 녀석은 다행스럽게도 잘 피해나갔다. 
우리는 그동안 상식적으로 병원균을 차단하면 병에 안 걸린다고 생각을 해왔다. 그래서 열심히 소독하고 손에 묻은 병원균을 제거할려고 청결제 등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그렇게 열심히 병원균을 차단했어도 병에 걸리는 것은 어떻게 설명을 해야하나? 


건강한 토양에 중요한 토양 미생물 다양성
그동안 25년 동안 토양 미생물을 분석해오면서 느낀 것이 있는데 바로 토양 미생물상의 다양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된 것이다. 토양에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물론 병원균도 포함해서 말이다. 토양 분석 결과 병원균이 발견되었다고 하면 농민들을 걱정을 하고 어떤 약을 뿌려야 좋을지를 물어온다. 그런데 병원균이 있다 하더라도 그 병원균이 토양 미생물 중 하나의 구성원으로 존재하면 아무런 문제가 되질 않는다. 단지 그 병원균이 우점을 하게 될 때 문제가 되는 것이다. 


토양에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자기들만의 적자생존 방식으로 치열하게 살아가고 있다. 어떤 미생물들은 성질이 더러워서 다른 미생물들과 종종 시비가 붙어 싸울려고 덤벼드는 녀석들이 있는가 하면 어떤 녀석들은 순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서로 도와주면서 살아간다. 


이렇게 토양 미생물들끼리 협조와 견제가 잘 이루어져 균형을 이루고 있어야 한다. 균형이 깨지게 되면 일부 미생물들이 우점을 하게 되고토양들에 병이 발생한다. 실제 토양에 세균이나 곰팡이 할 것 없이 다양한 미생물들이 존재하고 있는 토양은 병이 덜 오거나 병이 오더라도 그냥 스쳐지나가는 것을 수없이 보아왔다. 그러나 병을 달고 사는 토양은 미생물상이 편협하다. 
아무래도 흙속에 농약이나 화학비료가 자주 많이 들어가면 토양에 있는 미생물들의 균형을 깨뜨릴 수 밖에 없다. 그렇게 해서 토양의 균형이 깨지고 땅심이 떨어지면 일부 미생물들이 우점을 하게 되는데 만약 운이 없게도 그 미생물이 병원균이면 그 밭에는 병이 발생을 하는 것이다.



뉴스관리자 newsam@newsam.co.kr
< 저작권자 © 농기자재신문(주)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PC버전으로 보기

전화 : 02-782-0145/ 팩스 : 02-6442-0286 / E-mail : newsAM@newsAM.co.kr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2길 8 미소빌딩 4층 우) 06673 등록번호 : 서울, 아00569 등록연월일 : 2008.5.1 발행연월일 : 2008.6.18 발행인.편집인 : 박경숙 제호 : 뉴스에이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