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에서 14억을 들여 개발해 만든 농업 제초로봇의 생산 실적이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농촌진흥청이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 의원(더불어민주당·충남천안을)에게 제출한 ‘농업로봇 개발 현황’ 자료에 따르면, 농업 제초 로봇 개발 연구 1건당 평균 4억 6000여만원이 투입되었다. 이 중 연구사업을 통해 6건의 특허가 출원되었으며, 농촌진흥청은 특허별로 기술이전을 원하는 업체와 이전 대수별 기술이전 비용을 수취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5개 업체에 총 65대의 기술이전 계약을 맺었고, 기술이전비는 2000만원을 받아 1대당 평균 30만원의 수익을 올렸다. 14억을 들여 2000만원 회수에 그친 것이다. 또한 기술이전을 시작한 2011년 이후 현재까지 단 1건의 양산 실적도 없다는 점에서 결국 이번 개발 사업은 실패로 끝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더해 농촌진흥청은 사후 관리에서 특허기술의 해외유출과 타 분야에서 특허기술 사용 시, 이를 적발하기 어려워 18억의 연구개발 사업이 공중에 흩뿌려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특히, 지난해 7월 농촌진흥청의 제초 로봇 시연회 당시, 제초 로봇은 기동 10분 만에 고장이 나, 3시간의 수리 이후 다시 기동 되었지만 잡초가 아닌 논밭의 모를 제거한 전적까지 갖추고 있다.
이는 1초당 2.5m를 움직여야 하지만 23cm만 움직인 뒤 고장이 나 세계적인 조롱거리가 됐던 4대강 로봇물고기를 떠올리게 하는 대목이다. 당시 4대강 로봇물고기는 60억원의 예산을 들여 생산했지만, 각종 감사에서 연구개발비 낭비 지적을 받았다.
박완주 의원은 기술개발도 중요하지만 사후관리가 더 철저히 이뤄져야 함을 지적했다.
“농촌진흥청의 농업 제초로봇 사업이 4대강 로봇물고기의 전철을 밟고 있다는 점에서 농업기술개발 사업의 집행과 사후관리가 철저히 이뤄져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