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농촌진흥청이 이례적으로 유전자변형(이하 GM)작물 재배 단지를 언론에 공개하고 안전성을 확인했다. 시민단체는 물론 정치권 일부에서도 GM작물 실험 중단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가운데 농진청이 GM작물 연구재배단지의 안전성을 확인시키고자 마련한 자리. 농진청은 벼 조직배양실 및 온실 연구현장, 벼와 사과의 격리포장 등을 공개하며 GM작물 연구재배단지가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음을 알렸다.
기술력과 육종소재 확보는 미래 위한 투자
라승용 농진청 차장은 “GM연구는 기존 육종기술로 해결하기 어려운 기상이변 등을 해결할 최첨단 육종기술로 전세계가 기술개발에 매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 경쟁국인 일본, 중국도 재배용 및 의약품 생산용 GM작물 개발 등 기술력 확보와 상업화에 성공한 것이 확인 됐다는 것. 따라서 “우리나라도 식량안보 및 농업의 첨단화 등 국가 기술 경쟁력 자원에서 GM작물의 기술력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GM작물은 2015년 현재, 29작물에 385품목이 재배승인 됐고, 28개국 1억8000만㏊에서 재배되고 있다. GM종자시장은 153억$로 450$인 종자시장의 35%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중국·미국 등 13개 국가에서 22건의 GM작물이 승인됐고, 일본은 2014년 동물용 백신 생산 GM딸기 상용화에 성공한 바 있다. 중국 또한 국가 차원에서 52조원을 투자해 신젠타를 인수하며 차세대 GM작물 연구를 본격화하고 있다.
라 차장은 “GM작물 연구는 기술개발에만 10년 이상이 필요해 위기 닥쳤을 때 준비하면 이미 늦는다”고 경고했다. 또한 “GM작물은 의약품, 산업소재 생산용 등으로 사용돼 농가소득 및 농업첨단화에 기여하는 부분도 크다”며 “기술종속국으로 추락하지 않으려면 기술력과 육종소재 확보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농진청은 GMO 안전 세계기준인 ‘바이오안전성의정서’에 가입하고 의정서 이행을 위해 LMO법률 및 통합고시를 제정·운영하며, 안전성 확보에 철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동안 GM작물 재배 주변지역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꽃가루, 종자유출로 인한 자생개체 발생이나 유전자 이동 사례는 없었다고 확인했다. 라 차장은 “그러나 국민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는 한 GM작물의 일반 재배는 없다”고 확실히 약속했다.
GM작물 연구재배, 여전히 우려 높아
전북도민행동·농민의 길·GMO반대생명운동연대 등 시민단체는 GM작물 연구재배에 대해 “GM작물 시험재배 시 꽃가루와 새, 태풍에 의한 종자 유출로 농업생태계 오염이 우려되고, GMO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아 국내 GMO 개발 및 상용화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윤소하, 김현권 등 현역 국회위원도 GMO에 대한 안전성 입증 시까지 시험재배 중단 촉구 결의안 발의 및 격리포장 주변 합동 실태조사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반해 육종학회, 식물학회, 응용생명화학회, 식물생명공학회, 분자생물학회 등 국내 생명공학 5개 및 식품관련 9개 학회 등은 농업생명공학 연구개발 위축 및 GMO정치 이슈화 우려에 대한 공동성명서를 발표하며 “GMO가 사람의 건강과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유통 중인 GMO는 안전하다”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전북녹색연합 등 110여 개 단체가 참여한 ‘농촌진흥청 GM 작물 개발반대 전북도민행동’은 지난 8일 농진청 GMO 재배현장에서 “정부가 유전자변형작물을 상용화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어 국민의 불안과 걱정이 증폭하고 있다”며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은 시험재배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하는 기자회견으로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