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성명서> 30만 화훼산업종사자는 절규한다.

“서민”의 목소리를 철저히 무시하는 현 정부 !

뉴스관리자 기자  2016.07.27 13:41:50

기사프린트

 

어느 정부에서나 무사안일은 공공의 적으로 간주해 왔다. 박대통령 정부가 들어서서도 마찬가지로 무사안일을 누차 지적해 왔다.

그런데 722일 대통령 직속기관인 규제개혁심의위원회에서 김영란법을 3년간 시행해 보고 그때 가서 문제 있으면 개정하면 된다고 한다.

그 동안 화훼농가 다 망하면 그 때 가서 법 개정하여 원래대로 고친다면 망한 화훼농가가 원래대로 원상복구가 가능하겠는가?

이것이야말로 대표적인 무사안일의 행정이 아니고 무엇이란 말인가?

김영란법 시행으로 연간 경제 손실이 12조원에 달한다고 한다. 과연 김영란법 시행으로 12조원의 경제적 이익이 발생할 수 있겠는가?

연간 12조원의 피해는 고스란히 서민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 지금도 서민들은 생활고에 시달리는데 규제개혁위원들은 이러한 서민들의 생활고를 경험 해 본 적이 있는가? 아니면 서민들의 생활상을 깊이 조사해 본 적이라도 있는가?

박대통령정부는 서민들을 얼마나 더 어렵게 만들려고 그러는 것인가?

정부는 부정부패 척결을 위해서 보이지 않는 고위층의 부정부패부터 발본색원하여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고위층의 부정부패는 누구도 손대지 않다가

곪고 곪아 더 이상 방어수단이 없을 때 마지못해 수사하는 행태다.

고위층의 부정부패부터 뿌리 뽑지 않는다면, 감히 하위층 공무원들이 어찌 부정부패를 전수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고위층의 부정부패부터 척결하자!

우리 화훼산업종사자들도 김영란법을 반대만은 하지 않을 것이다.

화훼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연착륙해 가자는 것이다

우선 김영란법 시행 대상에서 농축산믈은 제외하던가, 아니면 최소한의 금액만이라도 상향 조정한 후 연차적으로 농축산물을 포함하던가, 금액을 하향 조정해 피해를 최소화 하면서 부정부패를 척결하자는 것이다.

서민도 대한민국 국민이다. 서민도 공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라!

2016. 7. 26.

 

화훼단체협의회장 임 영 호8개 각 화훼협회장 일동

()한국화훼협회장 임 영 호

()한국난재배자협회장 최 영 욱

()한국화훼생산자협의회장 최 성 환

()한국절화협회장 구 본 대

()한국백합생산자중앙연합회장 최 명 식

()한국화원협회장 문 상 섭

()한국꽃문화협회이사장 김 순 자

()한국화훼장식기사협회장 이 순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