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식품연구원(원장 박용곤) 식품안전연구단 최성욱 박사 연구팀은 식품 속 식중독균을 고속으로 분리‧농축할 수 있는 기술인‘식품시료처리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식품연에 따르면 식중독균 검사를 위해 배양과정을 통하는 기존 식중독균 검사법은 24~48시간이 소요되며 숙련된 전문가와 균 배양 시설이 필요하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기에 이를 극복하고자 식품연 최성욱 박사 연구팀은 식중독균 배양과정을 생략 또는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식중독균을 검출할 수 있는 식품전처리 자동화 시스템을 자체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현재, 여름철 식품안전 확보 측면에서 현장에서 식중독균 배양이 필요없이 최대 2~3시간 이내에 식중독균 검출을 필요로 하는 기관은 대형급식소(2만8000여개소), HACCP 의무 적용 업체(8300여개소) 등이 있어, 연구원이 개발한 ‘식품시료 자동화 시스템’은 국민 건강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최성욱 박사는 밝혔다.
식품연이 개발된 식품시료처리 자동화 시스템은 1 ~ 3시간 이내에 식품 속 식중독균을 높은 효율로 분리/농축할 수 있음을 확인되었고, 관련된 기술은 특허출원을 완료하였다. 특히, 식중독균 오염이 심한 경우 1시간, 식중독균이 미량인의 경우 3시간 이내에서 일반 검출기기로 검사 가능한 수준까지 식중독균을 분리/농축할 수 있었다. 현재 연구팀은 개발된 식품시료처리 자동화 시스템을 바탕으로 보다 신속/정확한 식중독균 검출이 가능한‘나노바이오센서용 식품시료전처리 기술개발’등의 후속연구를 계획/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