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이재욱) 소속의 시험연구소는 2015년 전국 17개 시•도에서 수거한 제조 및 유통단계의 사료를 대상으로 사료검정을 실시하여 안전한 축산물이 생산되도록 지원하였다고 밝혔다. 농관원 시험연구소는 국내 사료검정의 94% 이상을 수행하는 핵심 국가기관으로 사료의 안전 및 품질관리에 관한 검정 업무를 1999년부터 수행해오고 있다.
2015년 전국 1900여 사료업체 사료검정 실시
작년 한 해 전국 1900여 사료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사료검정은 전년대비 8% 확대된 4398점으로 성분 수는 2만5528건에 달한다. 사료종류별 비율은 배합사료 49%, 단미사료 37%, 보조사료 14% 순 이었다. 검정성분별 비율은 품질성분 20%•안전성 성분 80%이며, 주요 품질성분으로는 수분‧조회분‧조단백‧조지방‧조섬유‧아미노산‧칼슘‧인 등이며, 안전성(유해물질) 성분으로는 잔류농약‧동물용의약품‧중금속‧곰팡이독소‧동물성유래단백질(BSE관련)‧말라카이트그린 등으로 안전성 성분의 검정건수는 전년보다 20.1% 증가하였다. 2015년 사료검정 결과 허용기준에 맞지 않는 부적합 점수는 17점으로 검정점수 대비 낮은 수준(0.4%)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부적합 성분은 생균제 6점‧조회분 4점‧무기물(칼슘, 인, 아연) 3점 등으로 대부분 품질관련 성분이며, 그 중 유해물질 성분은 중금속(납) 1점이다.
농관원은 최신 분석장비와 오랜 분석기술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유해물질의 분석기술 연구와 개발을 추진해 왔으며 최근 사료에서 250여 개에 달하는 성분분석 검정체계를 구축하여 핵심적인 사료 검정 ․ 연구기관으로 역할을 해 나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배합사료 시장이 10조원, 애완동물용 사료시장이 4000억원에 육박하여 축산물의 안전관리 요구가 점차 증가하는 중요한 시기에 사료의 관리대상 잔류농약 성분을 121개로 올해 확대함으로써, 사료 유해물질 안전관리가 한 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재욱 농관원 원장은 “앞으로도 최일선 현장에서 지속적이고 선제적인 사료 안전관리를 강화함으로써 불량사료 유통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소비자는 물론 생산자 보호에 최선을 다 하겠다” 라고 다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