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충남 공주, 천안 구제역 발생에 따른 긴급조치

일시 이동중지 명령 발령 및 충남도 돼지 반출 제한

뉴스관리자 기자  2016.02.18 15:57:01

기사프린트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이하 농식품부)217() 구제역 의심 신고된 충남 공주시 및 천안시 소재 2개 돼지농장에 대해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정밀 조사한 결과 구제역으로 확진(혈청형 : O type)되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생한 구제역은 지난 111일 김제 및 113일 고창 돼지농장에서 발생 이후, 36일만에 발생한 것으로 우리나라가 접종하는 백신유형인 O형으로 확인되었다.

농식품부, 긴급방역조치 등 실시

농식품부는 이번 구제역 발생에 따라 가축질병위기관리 표준매뉴얼’ ‘구제역 긴급행동지침등 관련 규정에 따른 긴급방역조치 등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먼저 발생농장에 초동방역팀, 역학조사팀, 중앙기동방역기구를 투입 중이며, 발생농장 및 반경 3이내 우제류 농장에 대해 이동제한 등 초동조치를 실시하고, 발생농장에 대해서는 개정된 구제역 긴급행동지침에 따라 공주 956천안 2140두 등 농장내 돼지 전체를 살처분하며, 발생지역인 충남 공주, 천안 소재 전체 돼지 21만두에 대한 긴급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다.

구제역 위기경보는 ‘16.1월 전북(김제고창) 구제역 발생에 따라 상향 조정된 현행 주의단계를 유지한다. 구제역 발생원인 및 유입경로 등에 대해서는 현재 중앙역학조사반이 투입돼 조사가 진행 중이며, 농장내 잔존 바이러스에 의한 발생 가능성, 도축장 등을 출입하는 축산차량에 의한 외부로부터 유입 가능성, 김제고창 구제역과의 연관성 등에 대해 역학조사 및 유전자 분석을 진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일시 이동중지 등 방역대책 추진

농식품부는 이번 충남 공주, 천안에서 구제역이 발생함에 따라 218일 오전 가축방역심의회를 개최(위원장 : 식품산업정책실장)하여 다음과 같은 방역대책을 추진하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먼저, 구제역 확산을 방지하고 차단방역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21900시부터 24시간 동안 충청남도와 인접한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 전역을 대상으로 일시 이동중지 명령을 발령하기로 하였다. 이 명령 발동 즉시 우제류 가축·축산관련 종사자 및 차량은 이동을 중지하고, 축산농가축산관련 종사자 등의 소유 차량은 운행을 중지한 후 차량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하고, 도축장 등 축산관계시설에서는 시설 내외부 및 작업장 전체에 대해 철저한 소독을 실시해야 한다. 아울러, 농식품부와 국민안전처는 중앙합동점검반을 구성하여 일시이동중지 명령에 따른 지자체 이행실태이동 통제초소 및 거점소독시설 운영실태축산관계자 및 차량 이동 여부 등에 대해 점검할 예정이다.

충남 지역 내 돼지는 21900시부터 22524시까지(7일간) 타 시도로의 반출을 금지하기로 했다. 이번 반출금지 조치는 219(24시간)에 시행되는 일시이동중지 조치와 동시에 진행되는 것으로, 반출금지 기간은 우선 1주일로 하되 상황을 보아가면서 연장 여부를 검토 할 계획이다.

충남지역 내 돼지의 타시도 반출 금지 조치에 따른 충남도내 도축물량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219일부터 225일까지(7일간) 충남 도내 7개 도축장에 소독차량(공동방제단 14)을 전담 배치해 집중 소독도 실시한다. 또한 충남 공주 및 천안의 발생농장 반경 3km 이내의 이동제한지역 내 돼지농장에 대해서는 구제역 바이러스 오염여부 및 항체형성률 확인을 위해 일제검사 등 예찰을 강화 할 계획이다.

 

전국 확산 가능성 낮아

농식품부는 최근 돼지 백신항체 형성률이 69.9%(‘15.12월 기준) 수준으로 2014년도(전체 평균 51.6%)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는 점 등을 감안할 때 전국 확산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그 간 NSP항체(과거 감염되어 형성) 검출상황 등을 고려할 때, 구제역 바이러스가 순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백신접종소독 및 차단방역을 소홀히 할 경우 추가적인 발생 가능성도 있다.

농식품부는 축산관계자 및 국민들께 이번에 시행되는 조치가 구제역을 막기 위해 부득이하게 시행되는 단기적인 조치임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협조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특히, 축산농가는 우제류 가축에 대해 빠짐없이 백신접종을 실시하고, 출입차량 및 외부인 등에 대한 출입통제 및 철저한 소독 등 차단방역에 힘써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