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4일 2016년 합동 업무보고를 통해 ‘농업 6차산업화를 통한 농촌경제 및 수출 활성화 방안’을 보고했다.
농식품부는 기존 농외소득 중심의 6차산업을 넘어서, 탄탄한 농산물 생산기반을 바탕으로 가공, 유통·수출 및 관광을 연계한 지역단위 6차산업 시스템을 구축하고, 외부자본과 인력 활용 및 기업참여 촉진, 관계기관과 협업을 통해 체감 성과를 높여 농촌경제를 활성화하고 농식품 수출도 확대하겠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발표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개별농가 농외소득 위주로 추진해온 6차산업을 농산물 생산·가공·유통 및 관광을 연계한 지역단위 시스템으로 발전시켜 농촌경제 및 수출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또 전문경영체 육성을 통해 농업 내부의 역량을 강화하고, 외부자본·기술 활용, 기업과 상생협력도 적극 추진해 성과를 제고한다.
농산물 생산 첨단화·전문화 분야에서는 전략품목 중심으로 2017년까지 스마트팜 4000ha(현대화 온실의 40%)를 보급하고 쌀 들녘경영체 확대(224개소→250) 및 밭작물 공동경영체 신규육성(15개소)을 통해 품질제고 및 자율적 수급조절 체계를 구축한다.
제조·가공 및 식품산업 활성화를 위해 창조경제혁신센터 및 6차산업지원센터 등을 통해 창업 및 디자인·판로·자금 등을 지원하고 식품·외식업체 등의 국산 농산물 사용을 확대(’12:30%→’17:35)한다.
유통효율화 및 수출 확대를 위해 로컬푸드 직매장(103개소→140), 포스몰·공영홈쇼핑 등 직거래 확대 및 농식품 유통산업을 육성하고 관계부처와 협업을 통해 대중국 김치수출 확대를 위한 유통기한 연장기술 개발 및 통관기간 단축, 한류마케팅 등을 추진한다.
내외국인 농촌관광 활성화 분야에서는 2016~2018 한국방문의 해와 연계, 온라인예약시스템(airBNB 등) 구축, 특색있는 관광상품 개발, 중화권 언론 집중 홍보 등을 통해 외국인 관광객을 적극 유치하고 자유학기제와 연계한 농촌 직업체험 프로그램 개발, 연계교통 프로그램 등 접근성 제고를 통해 내국인 농촌관광객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