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정현장 집행기관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현장인력을 확대하고 중간 지원조직을 줄이는 방향으로 새 옷을 갈아입는다.
행정자치부(장관 정종섭)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정부3.0 시대에 부합하는 수요자 맞춤형 농정서비스를 강화하고, 일선 농정조직을 효율화하기 위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이재욱) 조직개편을 추진했다.
금번 조직개편 대상인 농관원은 농산물검사 중심에서 자유무역협정(FTA) 등의 개방 확대에 따라 안전성조사, 원산지단속 및 농가 맞춤형 지원 등 현장 중심 대국민 접점 농정조직으로 기능과 역할이 확대돼 농정에 대한 인식 전환에 따른 대응 및 농정추진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기능조정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농관원의 중간조직인 지원(枝院)의 기능을 대폭 축소하고, 감축된 인력을 현장사무소로 재배치하는 조직개편안이 마련됐다.
그 동안 정보기술(IT) 발달 등으로 강화된 행정정보화 역량을 바탕으로 인사, 회계·경리 등 각 지원의 공통업무는 본원으로 이관하고, 단순 전달·취합, 시험·연구 기능은 업무 통·폐합을 통해 효율성을 제고함으로써, 중간조직(지원)의 인력을 감축할 계획이다.
기능조정을 통해 감축된 인력 160명을 최일선 농정조직인 현장 사무소에 재배치해 원산지 단속, 친환경·GAP(우수농산물관리제)인증, 농업경영체 지원 및 자유무역협정(FTA) 대응 현장농정 지원 등 국민중심의 농정조직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했다.
정종섭 행정자치부장관은 “이번 농관원의 기능·구조 개편은 정부3.0 시대 국민중심 맞춤형 농정 추진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것으로 중간관리조직 축소를 통해 일선현장의 농정지원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국민·현장중심의 농업정책을 추진할 수 있게 된 데 의의가 있다”며 “농정 현장에선 농민의 만족도를, 도시에선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되 인력증원 없이 기능조정을 통해 이끌어낸 조직 효율화 우수사례”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