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스마트 팜 조기 정착시킨다

농식품부, 시설 투자·인프라 확충·수출까지

뉴스관리자 기자  2015.10.16 13:56:30

기사프린트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우리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경쟁력 제고의 일환으로 ‘스마트 팜 확산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현장보급 초기단계에 있는 스마트 팜을 조속히 확산하기 위해 현장의 걸림돌을 제거하고, 관련 투자와 인프라를 확충해 스마트 팜의 확산속도를 가속화하고, 향후 수출산업으로까지 성장토록 하는 데에 방점을 두었다. 먼저, 시설원예, 축산, 노지 등 각 분야별 특성을 감안해 스마트 팜의 현장 확산을 한층 가속화해 나갈 계획이다. 시설원예분야는 시설현대화와 연계해 ‘17년까지 현대화된 온실면적(10,500ha)의 40% 수준인 4000ha를 스마트 온실로 업그레이드한다. 온실유형과 재배되는 작물 특성에 따라 단동간편형, 연동복합형, 첨단수출형으로 구분해 모델개발과 확산에 나선다.


예를 들어 참외, 수박과 같이 소규모 단동 비닐온실이 재배에 적합한 작물은 측창자동개폐 등 비교적 간편한 원격제어설비만 갖추도록 해 농가의 비용부담을 줄여주고 파프리카·토마토와 같이 대규모 자동화 온실 설비를 통해 생산성과 품질경쟁력 확보가 가능한 작물은 복합·지능형 제어 시스템을 갖추도록 하는 방식이다. 한편, 보급 초기단계인 노지의 스마트팜 사업화는 규모화된 과수원을 중심으로 병충해 예찰과 관수제어 장비를 보급해 비료, 농약 등 생산요소를 적기·적량 투입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가뭄에도 안정적인 영농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2017년까지 목표는 규모화 농가의 25%수준인 600여 농가까지 확산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예산지원을 강화하고, 지자체, 생산자단체 등과 협업해 주산지 등을 중심으로 스마트 팜을 우선 보급한다.


저비용·고효율 한국형 모델 개발
수출재배단지에 ICT 융복합 첨단온실을 신규로 지원하는 등 지원예산을 2015년 246억원, 2016년 454억원(예상)으로 확대한다. 2016년부터는 시설원예품질개선사업 예산 508억원의 60% 수준을 양액기, 자동개폐기, 시설복합환경제어시설 등 ICT 시설·장비 중심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국내 제품의 상용화 수준이 낮아 고가의 외국산 제품 점유율이 높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저비용·고효율 한국형 스마트 팜 모델 개발과 보급에 나선다. 또 스마트 팜 전문인력 육성, 농가 실습교육과 사후관리(A/S) 강화 등 스마트 팜 운영농가의 성과제고를 위한 현장 밀착형 지원도 강화한다.


스마트 팜 기자재와 농업용 ICT 기기도 수출이 가능하도록 R&D부터 적극 지원해나갈 계획이다. ICT기업을 대상으로 기획단계부터 현장애로 해소 중심의 기술 수요를 발굴하고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 지원 등 R&D지원을 86억원에서 149억원으로 확대해 관련기업을 육성해 나가는 한편, 한국형 스마트 팜의 수출지원을 위해 수출전문기관(aT 등), IT기업(KT, SKT 등) 및 스마트 팜 환경제어기 생산기업 등으로 ‘스마트팜 수출협의회’를 구성, 해외시장 정보조사와 수출 유망 국가를 발굴하는 등 수출전략을 연말까지 마련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관은 “이번 대책을 통해 스마트 팜의 신속한 현장 확산과 시장 확대를 통해 농업의 경쟁력 제고와 함께 ICT 연관산업도 발전할 수 있는 선순환 생태계가 조성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앞으로 관련분야 일자리 창출과 해외시장 진출 등의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