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전 대규모 세일 행사가 열리고 중소기업에 21조3000억원 규모의 자금이 지원된다. 위축된 소비를 활성화하고 경제 심리를 회복시키기 위해서다. 정부는 15일 국무회의를 열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추석민생대책’을 마련해 발표했다.
정부는 공공부문이 먼저 하도급대금 현금 지급에 나서기로 했다. 공공 공사대금의 경우 현재 3주 가량인 대금 지급기일을 10일로 줄인다. 이를 위해 조달청 관리사업 대금 826억원을 추석 전에 현금으로 지급한다. 또 하도급 대금을 지급하지 않은 업체에 대해서는 추석 전 현금지급을 독려하고, 이에 응하지 않으면 현장조사를 거쳐 엄중 제재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14~25일을 임금체불 청산 집중 지도기간으로 정해 체불 가능성이 큰 사업장을 따로 관리하기로 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해선 10월까지 두 달간 한시적으로 체납해소자금을 융자해주기로 했다.
중소기업에는 다음달 12일까지 추석 특별자금 대출과 신·기보 보증을 포함한 21조3000억원을 지원한다. 지난해 추석보다 1조원 늘어난 규모다. 소상공인 전환대출금리는 7%에서 5%로 내린다. 부가가치세·관세 환급금은 추석 전에 지급하고 중소기업 법인세 납부기한 연장, 경영위기 납세자 징수·체납처분 유예 등 세정 지원이 이뤄진다.
정부는 14일~25일을 ‘한가위 스페셜위크’로 정하고 대대적인 세일 행사를 연다. 3000개 이상의 업체가 참여하고 할인 폭은 최대 50~60%다. 또 추석 직후 2주(10월 1일~14일)간은 유통업체의 대규모 합동 프로모션과 인터넷쇼핑몰 그랜드 세일과 같은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행사를 연다. 소비 촉진을 위해 정부는 공공부문 복지포인트를 다음달 31일 까지 조기 사용토록 독려하고, 온누리상품권 구매를 250억원 규모로 확대한다.
이밖에 추석 연휴 교통편을 최대한 증편하고 갓길 차로 운영, 택배 차량·인력 확대 등 특별 교통·수송대책도 시행하기로 했다. 180만 저소득층 가구에는 16~18일 1조7000억원의 근로장려금(EITC)과 자녀장려금(CTC)을 지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