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박사는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각 국가의 식품규제를 준수하고 안전관리를 위한 현장 중심적인 해외정보의 실시간 수집 및 제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 박사는 지난달 25일 농식품부와 aT가 마련한 ‘농식품 수출 확대 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주요 수출국인 일본, 미국과 함께 최근 FTA 협상이 타결된 중국의 식품안전관리 기준 변동 동향과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했다.
미국은 ’11년 식품안전현대화법(FSMA)을 제정하면서 식품안전관리 패러다임을 사후관리에서 사전예방적 규제로 전환하고 있고, 일본은 후생노동성을 중심으로 식품안전위원회, 농림수산성, 소비자청에서 식품안전 관리를 보다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최근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식품안전사고에 따라 식품안전위반범죄를 근절하기 위해 ▲식품안전 관리감독 강화 ▲주요 품목 종합관리 ▲관리감독 역량강화 ▲근본적 문제해결 ▲홍보강화 등 5대 식품안전 정책목표를 발표했다.
서울 프리마호텔에서 있었던 이날 세미나는 식품업체들의 공동 활동을 통한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자율적으로 운영중인 ‘식품기업수출협의회’ 총회와 연계해 개최됐으며 대상, 농심, CJ제일제당, 동원F&B, 롯데칠성음료, 신송식품, 매일유업, 빙그레, 샘표식품, 오케이에프, 팔도, 한국인삼공사, 사조해표, 동아원 등 20여명의 식품업계 CEO들이 참석했다.
주제발표 이후에는 김동술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기준과장, 정철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박사가 참여한 가운데 토론이 이어졌으며 △주요국들의 검역·위생 등 비관세장벽 현황 △CODEX, WHO 등 주요 국제기구의 식품안전 관리 동향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2017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달러 달성을 통해 농식품 산업을 미래성장 산업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선 식품업계의 자율적 노력이 필수적”이라며 “중국·ASEAN 등 주력시장을 중심으로 aT, KOTRA, 대한상의, 재외공관 등과 협력해 업계에서 요구하는 해외시장 정보 제공을 확대해 자생력을 제고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