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가 김장채소의 공급과잉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시장심리를 조기 안정시키기 위해 공급조절 및 수요확대를 통한 수급안정 대책을 추진한다.
공급조절을 위해 배추·무는 지난해 4만9000톤에서 올해 10만톤으로 계약재배를 확대했다. 또 위기단계별 수급안정대책을 추진한다. 경계단계에서는 유통협약을 체결하고 3만톤에 대해서는 자율적 수급조절을 유도한다. 심각단계에서는 8만톤까지 단계적으로 시장격리에 나선다. 가을배추 7000톤은 농협이 5, aT가 2 비율로 저장과 비축에 들어간다.
건고추와 마늘은 정부물량 공급을 자제하고 시장기능을 존중키로 했다. 다만 마늘의 정부보유물량 수입 2000톤과 비축 1만2000톤은 12월 말까지 시장에서 격리한다. 또 고추에 대해 최초로 경계경보를 발령하고 5800톤의 건고추 수매를 조기완료할 계획이다. 심각단계에 이를 경우 160억원의 가용예산 내에서 추가 수매를 검토한다.
농식품부는 또 수요확대를 위해 직거래 장터 김장시장 80개소, 이동식 차량 6대 운영을 통해 김장재료를 저가에 공급한다. 또 대국민 김장 캠페인을 통해 소비 확대, 수출 확대를 위한 수출 물류비 추가 지원, 해외판촉 행사 지원, 김치기부 확대를 통한 간접소비를 촉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