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은 7월 5일 “농업인과 소비자 중심으로 농협을 확 바꾸겠습니다”라는 제하의 정례브리핑을 통해 농업인에게는 더 많은 실익을, 고객에게는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농업인과 소비자 중심으로 농협을 확 바꿔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농협은 “판매농협 구현”, “국민의 어려움을 함께”라는 2가지 실천방향을 제시했다. 먼저, 농협은 농업인이 생산한 농축산물의 안정적인 판로를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도시 농·축협과 중앙회가 최초로 공동 투자하여 서울 등 대도시에 농축산물 판매장(4개소)을 시범 설치한다. 또 대도시 소재 농·축협이 금융점포를 신설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농축산물 판매장을 병행 설치하도록 의무화하고, 전 금융점포(828개소)에 농산물을 판매하는 신토불이 창구를 설치하는 등 판매채널을 최대한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와 함께 대도시 농협의 경제사업을 대폭 확대하여 신용사업에서 경제사업 중심으로 기능을 전환해 나갈 예정이다. 대도시 농·축협의 사업현황 및 여건 등을 감안하여 판매장 확충형, 온라인 사업형, 학교·기업 급식형, 기획 행사형 등 4개 유형으로 구분하고 유형에 따른 컨설팅 실시 등 맞춤식 지도지원을 강화한다. 또 대도시 농협의 경제사업 비중(매출총이익 기준)을 현재의 10% 수준에서 2013년 15%, 2015년 20%, 2017년 30%까지 연차적으로 높여 나갈 계획이다. 한편, 대도시 축협은 현재의 21% 수준에서 2017년까지 35% 이상으로 확대한다. 이에 따라 대도시 농축협의 경제사업 취급 물량이 매년 1조원씩 증가하여 2017까지 현재보다 6조원이 증가한 13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지표를 부여하고 지표 달성 여부에 따라 2014년부터 자금지원, 점포설치, 계통판매장 판매, 농협상표 사용 제한 등의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더불어 농협은 농축산물의 유통 활성화에 무이자자금 및 저리자금을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무이자 및 저리의 농축산물 유통활성화자금의 조성규모를 현재 8조 1천억원 수준에서 2015년까지 10조원으로 확대하여 판매사업 및 생산기반 조성 등 유통부문에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또 대도시에 소재하고 있는 농·축협이 공동으로 출연하여 2017년까지 연차적으로 5,000억원 규모의 ‘도농상생협력기금’을 신규로 조성할 계획이며, 조성된 기금은 2013년부터 경영여건이 어려운 농촌지역 농·축협의 경제사업활성화 지원자금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도시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친환경 농식품을 중심으로 온라인 (On-Line) 기반의 회원 제 가정택배 사업 실시를 계획하고 있다. 또 중소 슈퍼마켓에 대해 농협의 안심농축산물을 공급함으로써 소상공인과 동반 성장을 도모하고자 한다. 알뜰주유소를 350개소에서 금년 말까지 500개소로 확대하고, 신선하고 안전한 안심축산물을 공급하기 위해 축산물프라자 8개소를 대도시 중심으로 신규 개설하고 1017년까지 69개로 확대한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지역인재 양성을 위한 일자리를 확대하고 그동안 추진해온 사회공헌활동을 한층 강화하여 범 농협 차원의 ‘임직원 봉사단’을 발족하고 체계적인 사회공헌 활동에 박차를 가해 나가겠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아울러 농업인뿐만 아니라 국민의 어려움을 함께하는 나눔경영을 적극 실천하겠다는 의지도 천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