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한우반납운동에는 한우협회 소속 10개 시도지회와 136개 지부에서 수백 대의 차량을 동원해 한우를 싣고 상경해 청와대와 기획재정부에 한우 반납운동을 펼칠 예정이었으나 경찰의 저지로 소는 한 마리도 서울에 진입하지 못했다. 한우농가들은 경찰이 각 지역 톨게이트 입구를 원천봉쇄하면서 한 마리의 소도 서울에 진입하지 못하자 대전, 경기, 경북, 경남, 전북, 광주, 울산, 강원, 제주 등지에서 한우반납 시위를 펼쳤다. 남호경 전국한우협회장은 이날 청와대와 인접한 서울 청운효자동 주민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우 농가에 대한 대책도 없이 한미 FTA에 따라 현재 40%인 미국산 쇠고기 관세를 단계적으로 철폐하는 것은 국익이라는 명분 아래 한우 산업을 벼랑 끝으로 내모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
회장단은 이날 정부가 단기적 소 값 안정 대책과 중장기적 경쟁력강화 대책을 진정성 있게 내놓아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한편 농림수산식품부는 최근 쇠고기 유통구조 합리화를 위해 협동조합형 패커 육성, 도축장 구조조정 등을 통해 판매액의 37.7%에 달하는 유통비용을 줄일 방침이라고 밝혔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농협의 안심축산을 생산·도축·가공·판매를 일관 추진하는 협동조합형 패커로 육성해 2015년까지 시장점유율을 50%까지 높임으로써 유통단계를 생산자→안심축산사업→유통업체→소비자로 축소시켜 나갈 방침이다. 또 도축장 역시 도축·가공·유통이 연계된 통합 경영체로 육성해 2015년까지 현재 83개 도축장을 36개로 줄이고 부분육 유통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현재 쇠고기 유통경로는 도축·가공·판매주체가 규모화·계열화 돼 있지 않아 생산자→수집상→공판장(도축장)→도매상→유통업체→소비자 등으로 복잡하다는 것이 농식품부의 설명이다. |